국가별 미등록 이주노동자 정책
  • 관리자 
  • 11-02 
  • 1458 

    <출처 : 경향뉴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10251816475&code'=940702>

     

     

    국가별 미등록 이주노동자 정책

     

    ㆍ한국, 5년 거주 단서…‘노동이민 봉쇄’미국

    ㆍ10년이상 거주…‘추방보다 배려’독일

    ㆍ5년 체류 20만…‘한정적 거주권’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한국 정부는 이주노동자의 국적 취득을 허용하지 않는 것을 기본 정책으로 삼고 있다.

     

    현행 고용허가제에 따르면 이주노동자들은 3년이 지나면 질병 등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무조건 출국해야 한다. 재고용이 될 경우에도 1개월 이상 출국했다가 다시 들어와야 한다. 외국인이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하려면 국적법상 5년 이상 계속해 국내에 거주해야 하기 때문에 ‘노동 이민’은 사실상 불가능한 셈이다.

     

    과학·경제·문화·체육 등 특정 분야에 탁월한 능력을 갖고 있는 ‘우수 해외인력 외국인’의 국적 취득 조건은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지만 일반 이주노동자에게는 해당되지 않는다. 미등록 이주노동자들은 언제든 추방될 수 있는 것이 한국의 현 제도다.

     

    반면 외국은 장기 미등록 체류자의 처리에서 어느 정도 유연성을 보인다.

     

    국가인권위원회가 2006년 1월 발표한 ‘미등록 외국인 단속 및 외국인 보호시설 인권상황 실태조사’에 따르면 미국은 미등록 체류자라도 강제퇴거(추방) 취소 조치가 이뤄질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뒀다. ‘5년 이상 영주권을 가지고, 7년 이상 머물렀으며,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지 않은 경우’다. 이에 따라 10년 이상 미국에 거주했고 범죄 사실이 없으며, 추방됐을 때 배우자와 자녀·부모에게 큰 피해가 생길 것이 확실할 경우 대개 강제퇴거 취소 처분이 나온다고 한다.

     

    독일은 5년 이상 체류했고, 특별한 사정으로 본국 송환이 어렵다고 판단되면 ‘한정적 거주권’을 부여한다. 주별로 구성한 위원회가 미등록 체류자의 추방 여부를 결정하는데 현재 약 20만명이 ‘한정적 거주권’으로 독일에 살고 있다. 다만 2005년 신이민법 발효 이후 ‘합법적 영주권’ 발급은 늘어나지 않고 ‘한정적 거주권’만 연장되고 있는 상황이다.

     

    호주는 1972년 백인의 이민만 받는 ‘백호주의’ 폐기 후 늘어난 미등록 체류자에 대해 73년과 76년, 80년 세 차례에 걸쳐 사면을 단행했다.

     

    <황경상기자 yellowpig@kyunghyang.com>

     





Total 63건   /   4 페이지
게시물 검색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