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미등록 이주민의 건강 관리 과정을 살펴보고, 이들의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에 어떤 장애 요인이 존재하는지 파악한 것이다. 이를 위해 미등록 이주민 14명을 심층 인터뷰하고 근거이론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등록 이주민은 열악한 노동환경에서 일하기 때문에 건강이 나빠지기 쉬운 반면 보건의료서비스를 이용하는데 많은 제약이 존재했다. 사업주가 병원에 가지 못하게 하거나, 의료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이 드물었고, 낮은 임금으로 의료비를 지불하기 힘들었다. 더욱이, 비자가 없다는 두려움으로 의료기관에 가는 것을 꺼려 아픈 것을 참는 경향이 컸다. 결국 미등록 이주민들은 건강이 악화한 후에야 보건의료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에도 의료진과의 언어소통에 어려움을 겪었고, 경우에 따라선 의료진으로부터 불친절하거나 차별적인 대우를 받기까지 했다. 정리하면, 미등록 이주민은 보건의료서비스 이용 시, 경제적 요인, 노동환경 요인, 정보 접근성 요인, 무비자(비자 없음), 언어소통의 어려움, 의료진과의 상호작용 문제라는 장벽을 경험했다. 이것을 토대로 4가지 유형을 도출할 수 있었는데, ‘낙관형’, ‘절망형’, ‘체념형’, ‘포기형’이 있었다. 여기에 많은 영향을 준 범주는 ‘경제적 요인’과 ‘언어소통 가능 여부’였다. 그러나 모든 유형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무비자여서 겪는 어려움’과 ‘노동환경 요인’ 역시 고려해야 한다.

키워드

미등록 이주민, 건강 관리, 보건의료서비스, 근거이론

참고문헌(40)open

  1. [기타] 경향신문 / 2015 / ‘의료 사각지대’ 이주노동자는 서럽다. 12. 09

  2. [학술지] 고진강 / 2009 / 여성결혼이민자의 의료서비스 이용경험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5 (1) : 89 ~ 99

  3. [보고서] 국제보건의료발전재단 / 2005 / 외국인노동자 보건의료실태 조사연구

  4. [보고서] 김미선 / 2014 / 이주노동자 건강과 의료실태

  5. [학술지] Kim Seong Ho / 2015 / 한국 내 외국인 이주노동자들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인식 및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다문화콘텐츠연구 (18) : 255 ~ 297

  6. [학위논문] 김영한 / 2008 / 한국 방송노동시장의 유연화 연구 : 1990년대 이후 방송노동자의 유연화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7. [학술지] 김요완 / 2009 / 근거이론을 적용한 이혼소송과정 분석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 (2) : 559 ~ 583

  8. [학술지] 김용규 / 2010 / 이주노동자의 정신건강 현황 및 과제 / 정신건강정책포럼

  9. [학술지] 김윤영 / 2016 / 결혼이주여성들의 문화차이에 따른 의료경험: 경기도 안산시 원곡동 주민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 다문화와 평화 10 (2) : 69 ~ 94

  10. [학술지] 김춘미 / 2011 / 여성결혼이민자의 보건의료이용실태와 보건의료요구도 조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2 (3) : 333 ~ 341

  11. [기타] 대한의사협회 / 2017 / 의료법 주요 조문 해설: 8-9

  12. [학위논문] 박지인 / 2016 / 이주민의 인권침해 유형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13. [학술지] 박현선 / 2007 / 미숙아 출산 가정의 퇴원 후 적응 과정에관한 질적 연구:주양육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 한국아동복지학 (24) : 151 ~ 175

  14. [보고서] 법무부 출입국 / 2017 / 2017 중앙행정기관 외국인정책 시행계획 : 578 ~ 581

  15. [보고서] 법무부 출입국 / 2017 / 2017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정책 시행계획①

  16. [보고서] 법무부 출입국 / 2017 / 2017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정책 시행계획②

  17. [보고서] 법무부 출입국 / 2018 / 출입국・외국인정책 외부용 통계월보 2018년 10월호

  18. [보고서] 법무부 / 2018 / 법무부, 40~50대 가장의 마지막 피난처 건설현장 강력단속

  19. [보고서] 법무부 / 2018 / 3차 외국인정책 기본계획

  20. [보고서] 서울대학교병원건강증진사업단 / 2006 / 국내 거주 외국인 근로자의 건강수준 평가와 체계적 관리방안

  21. [보고서] 서울특별시 / 2015 / 미등록 이주아동 인권보호 및 사회적응방안 연구

  22. [학위논문] 손정인 / 2017 / 한국 사회의 건강권 개념 분석

  23. [보고서] 여성가족부 / 2016 / 2015년 전국 다문화 가족 실태조사 분석

  24. [인터넷자료] / 온드림 희망진료센터

  25. [학술지] 원영희 / 2011 / 의료서비스 지원이 외국인 근로자의 한국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 / 한국지역사회복지학 (38) : 29 ~ 50

  26. [기타] / 2018 /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개정 2018.12.11, 법률 제15893호)

  27. [기타] / 2018 / 의료법. (개정 2018. 8. 14, 법률 제15716호)

  28. [학위논문] 이순영 / 2003 / 중년 남성의 건강 지키기: 근거이론 방법

  29. [보고서] 이주민과함께 / 2011 / 부산・경남 지역 미등록 이주민 건강실태 조사 완료 보고서

  30. [기타] 이투데이 / 2017 / 서울시, ‘고령・외국인 근로자 이력관리제’ 시행… 안전사고 줄인다. 2. 28

  31. [기타] / 2018 / 출입국관리법 시행령. (개정 2018. 9. 18, 대통령령 제29163호)

  32. [학술지] 정의철 / 2012 / 이주민과 헬스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건강 인식, 병의원 이용, 헬스커뮤니케이션 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방송학보 26 (4) : 344 ~ 385

  33. [학술지] 정재민 / 2010 / 청소년 팬덤 현상에 대한 근거 이론적 접근 / 한국청소년연구 21 (3) : 91 ~ 119

  34. [기타] 한겨레 / 2016 / “외국인 없으면 음성 공장 문 닫을판”…이민자가 ‘인구 쇼크’ 완화할까. 11. 29

  35. [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2012 / 다문화가족 여성과 아동의 건강실태 및 건강서비스 지원방안연구

  36. [보고서] 한국이주민건강협회 / 2009 / 한국 내 미등록 이주아동 건강실태 보고서

  37. [단행본] 한국이주민건강협회 / 2009 / 한국사회와 이주민 건강- 외국인노동자 의료백서2 / 청년의사

  38. [기타] IOM이민정책연구원 / 2011 / 이주와 건강: 이론적 고찰 : 23

  39. [단행본] Strauss, A. / 1990 / Basi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40. [인터넷자료] / UN DE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