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현재 탈북청소년은 ①북한출생 탈북청소년, ②제3국출생 탈북청소년, ③남한출생 탈북청소년, ④무연고 탈북청소년 등 네 부류로 구분되며 정부 부처에서는 통일부의 남북하나재단(북한이탈주민재단)과 교육부 산하의 탈북청소년교육지원센터 그리고 여성가족부의 무지개청소년센터가 이들의 교육지원과 정착지원을 맡고 있다. 그 밖에도 여러 민간단체가 탈북청소년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전체적이고 종합적인 지원체계가 없고 각 기관과 지원단체 간 역할 분담이나 조정이 미흡하며 이에 따른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다. 전체 탈북민 입국자 중 24세 미만의 탈북청소년은 20% 정도를 차지한다. 한국에 입국하여 정착하고 있는 탈북청소년은 이질적 교육제도, 학업 공백의 기간, 어려운 가족 환경, 정서적・심리적 불안 등으로 한국의 일반학생들과 비교하여 학업 수준 편차는 매우 크고 학교 교육 적응뿐만 아니라 정체성의 혼란과 언어와 사회문화적인 부분에 이르기까지 부적응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국에서 탈북민과 그 자녀의 사회적응과 삶은 분단국가의 구성원 모두가 함께 한반도 통일시대를 연습해보는 ‘미리 온 통일’과정이자 남북통합의 바로미터이며 통일국가에서 남북한 출신의 국민이 함께 상생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시금석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한반도의 미래와 통일의 관점에서 탈북청소년이 향후 남북통합과정에서 중요한 인적자원으로, 통일국가의 주역으로서 역할을 감당할 수 있을지는 우리의 관심과 배려에 달려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키워드

탈북청소년, 북한이탈주민, 교육지원, 대안학교, 통일

참고문헌(18)open

  1. [학술지] 강용원 / 2010 / 한국 사회 내 북한이탈주민의 삶 -기독교교육적 접근- / 기독교교육 논총 (24) : 459 ~ 490

  2. [단행본] 민성길 / 2004 / 통일이 되면 우리는 함께 어울려 잘 살 수 있을까 / 연세대학교 출판부

  3. [학술지] 양승준 / 2017 / 청소년을 위한 세례교육의 갱신 모델 연구 / 기독교교육 논총 (50) : 117 ~ 154

  4. [학술지] 이기영 / 2015 / 한국거주 탈북배경청소년의 다양성에 따른 지원정책의 분석과 함의 / 동북아연구 30 (2) : 93 ~ 129

  5. [학술지] 유은희 / 2012 / 북한의 상황을 고려한 신학교육 커리큘럼과 교수-학습방법에 대한고찰-탈북민 신학생들의 한국 신학교에서의 학습경험을 바탕으로- / 기독교교육 논총 (32) : 1 ~ 36

  6. [단행본] 전우택 / 2000 / 사람의 통일을 위하여 / 오름

  7. [단행본] 전태국 / 2013 / 사회통합과 한국 통일의 길 –내적 장벽을 넘어서 / 한울

  8. [단행본] 주승현 / 2018 / 조난자들 / 생각의힘

  9. [학술지] 주승현 / 2017 / 북한인권 문제와 통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기독교교육 논총 (50) : 261 ~ 290

  10. [단행본] 통일부 통일교육원 / 2020 / 2020 통일문제 이해 / 통일교육원

  11. [단행본] 통일부 통일교육원 / 2020 / 2020 북한 이해 / 통일교육원

  12. [단행본] 통일부 / 2019 / 통일백서 / 통일부

  13. [단행본] 통일부 / 2020 / 통일백서 / 통일부

  14. [인터넷자료] / 통일부 홈페이지

  15. [인터넷자료] / 하나재단 홈페이지

  16. [인터넷자료] / 무지개청소년센터 홈페이지

  17. [인터넷자료] / 탈북청소년교육지원센터

  18. [인터넷자료] 파이낸셜뉴스 / 탈북민 30명 ‘재월북’.. 700명은 외국서 안돌아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