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아시아경제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030911155658482>
[르포]'키르키즈스탄 선생님의 다문화 수업 다녀왔습니다'
지난 8일 서울 고척초등학교의 이중언어강사 이나직 선생님이 5학년 1반 아이들과 수업하고 있다.
_?xml_: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8일 오전 서울 고척초등학교(교장 박창식) 5학년 1반 교실. 키르키즈스탄에서 한국에 온 지 5년 남짓한 이나직 선생님의 첫 수업이 시작됐다.
조금 서툰 한국말로 자신의 이름을 말한 이 선생님이 자신의 조국 키르키즈스탄을 소개하고 화폐 실물을 보여주자 아이들의 관심이 선생님의 손과 입으로 쏠린다.
칠판 뒤에 숨어있던 대형 TV가 나타나고 수도 비쉬켄의 사진 속에 있는 커다란 건물을 가리키자 "청와대예요"라는 대답이 돌아온다. 눈치 빠른 정답이다. 키르키즈스탄의 대통령궁이다.
선생님과 친숙해진 아이들이 먼저 뜬금없는 질문을 던지기도 한다. "그러면 밥은 손으로 먹어요, 젓가락으로 먹어요?" "스테이크를 많이 먹나요?" "숟가락과 포크로 먹지요. 주로 빵을 먹어요." 붉은색 국기를 보여주면서 한국 국기에는 '태극기'라는 이름이 있지만 키르키즈스탄은 그냥 '국기'라고 부른다는 설명이 이어졌다.
이처럼 수업은 다른 나라와 우리나라를 연결짓는 방식으로 이어진다. 이 선생님은 아이들과 게임을 하기도 했다. '나라이름 대기' 놀이다. '아이 엠 그라운드, 나라이름 대기' '중국' '일본' 1분단부터 한명씩이다. 중국, 일본, 미국… 익숙한 나라들이 먼저 나온다. 우즈베키스탄이 나오니까 아이들이 탄성을 지른다. 하지만 두 번째로 시작된 게임에서는 미얀마, 필리핀, 네팔과 같은 나라까지 속속 흘러나오며 25명이 수업받는 교실 한 바퀴를 다 돌았다.
◆ 외국인 100만명 시대 '이중언어 강사'로 대비 '= 이 선생님은 다문화 시대를 맞아 서울교대가 공들여 길러내 학교 현장으로 내보낸 '이중언어 강사'다.
김정원 서울교대 다문화교육연구원장은 "국내 체류 외국인이 100만명을 훌쩍넘어서면서 한국 사회는 빠른 속도로 다문화ㆍ다인종 사회로 변화하고 있다"며 "서울교대는 초등학교를 비롯한 학교에서 다문화 교육이 가장 절실하다고 판단해 '이중언어 강사 양성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중언어 강사의 경우 지난 2009년 3월 90명을 선발해 8월 초까지 총 900시간 동안 교육을 마쳤다. 대졸 이상 학력인 이중언어 강사 72명이 배출됐다. 이 가운데 상당수는 고국에서 교사 경력을 갖은 이들이다.
대부분 초등학교에 배치돼 주당 20시간 내외씩 수업을 담당하고 있다. 다문화 수업을 통해 한국 아이들의 다문화 이해도를 높이는 것이 가장 큰 역할이다. 그리고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을 따로 상담하고 돌봐주는 일, 이중언어 강사로 일본어ㆍ중국어ㆍ러시아어 등 모국어를 방과후교실을 통해 가르친다.
현재 활동하는 60명 가량의 강사는 일본인과 중국인이 18명씩 내외로 가장 많다. 몽골(16명)과 러시아(12명), 동남아시아 국가(말레이시아, 필리핀) 출신 강사들이 뒤를 잇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