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의 새로운 가치와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제적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는 연구기관

저널명
다문화와 평화(Multiculture & Peace)
등재사항
KCI등재
수록권호
제17권 3호 (통권 40호)
발행일
2023.12
수록논문
11 articles
유형
학술저널
주제
복합학
발행기간
2023.12 ~ 2024.08
발행주기
연 3회
총 권호 수
3 volumes
총 논문 수
30 articles

키워드

이주, 이주배경아동, 자원봉사자, 돌봄, 자격, 가정성
Migration, Immigrant Children, Volunteers, Care, Deservingness, Domesticity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이주배경아동을 위한 지원 활동에 헌신한 자원봉사자들의 사례를 통해, 이주배경아동이 돌봄과 보호의 대상으로 인식되고 개념화되는 방식을 탐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주민의 권리 보장과 사회 정의의 실현을 위한 규범윤리적 문제에 답을 찾는 것이 아니라, 돌봄의 현장에서 돌봄 자격 판단 기준이 어떻게 만들어지며 어떤 형태의 돌봄이 실제로 실천되는지를 기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권리와는 구분되는 자격 개념을 활용한다. 본 연구에 참여한 자원봉사자들은 이주배경아동이 돌봄을 받을 자격을 당연히 갖추고 있다고 간주하기보다는, 보다 개인적이고 구체적인 경험과 조건에 근거해서 이주배경아동에게 돌봄과 보호의 자격을 부여한다. 이들은 이주배경아동을 가까이에서 관찰하면서 이들이 취약한 환경에 노출된 존재임을 확인한다. 동시에 가정적인 활동을 통해 아동들에게 친밀감과 안정감을 느끼며, 또한 아동들로부터 여타의 이주민 집단과는 구분되는 문화적 동질성을 발견한다. 이러한 관계적 조건과 실천들은 이주배경아동을 돌봄의 우선적 자격을 지니고 있다고 판단하게 만드는 한편, 돌봄을 덜 받을만한 이주민 집단, 특히 성인 이주민들로부터 구분시킨다. 자원봉사자들과 이주배경아동이 형성하는 사적이고 친밀한 관계망은 돌봄의 자격 있음과 자격 없음이 돌봄의 제공자와 수혜자의 삶의 조건들, 그리고 돌봄의 제공자와 수혜자 사이에 형성되는 관계의 거리에 따라서 조정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With a particular focus on volunteers who commit themselves to care activities for immigrants in Seoul, South Korea, this study examines how volunteers categorize immigrant children as “deserving” of care. Rather than seeking answers to normative ethical questions about the protection of immigrant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the idea of immigrant deservingness is conceptualized and practiced in the Korean context. Volunteers in Seoul build family-like relationships with immigrant children through domestic activities involving educating, feeding, and playing. While these close social ties underlie the evaluation of the deservingness of children, such a relational care differentiates children from other immigrant groups, particularly undocumented adult migrants who are portrayed negatively in media and thus considered less deserving or “undeserving.” The case of volunteers in Seoul shows that the boundaries between the deserving and the undeserving is reshaped according to the distance of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 provider and recipient.

참고문헌 (15)

  1. 강현아. (2009). 이주노동자 자녀의 사회권에 대한 논쟁. 「아동과 권리」 13(1): 57-85.
  2. 구은미・이중희. (2019). 난민아동의 인권에 대한 연구: 생존권과 발달권을 중심으로. 「아시아연구」 22(2): 487-506.
  3. 김경학. (2018). 국내 고려인 아동의 국제 이주 경험과 초국적 정체성: 광주광역시 고려인 아동을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 24(2): 61-103.
  4. 김유진・유전양. (2018). 중국 결혼이민여성의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살펴본 국내 다문화 자원봉사 사업의 명암. 「사회과학연구」 29(1): 239-257.
  5. 김은재・최현미. (2019).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사례관리사들의 현장 실천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33: 121-152.
  6. 김현진・노충래. (2023). 미등록 이주아동 지원 활동가의 실천경험 의미.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17(1): 5-30.
  7. 법무부(2022). 「2022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연보」
  8. 서울역사박물관. (2010). 「이태원: 공간과 삶」,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9. 성수정. (2022).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대상 한국어교육 정책사례 연구. 「다문화교육연구」 15(4): 77-109.
  10. 신윤정. (2022). 이주배경아동의 성장・발달의 문제점과 정책 과제. 「보건복지포럼」 304: 21-36.
  11. 양계민・변수정・조혜영・김이선・이민영・김지연・장윤선・김사강・김동진・이탁건・조성호・김은정・김성식・최윤정・이명진・장인숙・김학령・김주영・이주연・동제연・김유연. (2020). 「포용사회구현을 위한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성장기회격차 해소방안연구: 통계구축방안을 중심으로」, 세종: 경제・인문사회연구회.
  12. 연보라・이윤주・김현철. (2019). 「이주배경아동 청소년 지역기관 연계 종합지원모델 개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3. 이오복. (2019). 다문화복지정책에 대한 서비스 제공자의 인식유형 연구: 사회복지사, 방문교육지도사, 언어발달지도사를 중심으로. 「인문사회21」 10(6): 395-410.
  14. 이주배경청소년지원재단. (2022). 「이슈브리프 이주배경」 924 6호
  15. 이혜진・김현미. (2021). 고령 이주민의 돌봄의 자격: 일본 고베정주외국인지원센터(KFC)의 고령 이주민 지원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더보기
검색된 논문 수 164 / 전체 논문 수 330
게시물 검색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