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의 새로운 가치와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제적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는 연구기관

총 권호 수
0 volumes
총 논문 수
0 articles
1970.01

키워드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교육, 사회적경제, 자조공동체, 협동조합
Marriage-migrant women, Multicultural education, Social economy, Self-help community, Cooperative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들이 협동조합을 활용해 아래로부터의 운동으로서 다문화교육을 어떻게 실천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결혼이주여성 자조공동체를 중심으로 구성된 B협동조합의 여성 6명을 대상으로 수업 참여관찰과 심층인터뷰를 함으로써 이들이 다문화교육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에스닉 노동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결혼이주여성 자조공동체가 중심이 된 사회적경제는 여성들로 하여금 다문화강사로 계속 일할 수 있다는 믿음을 주는 동시에 실질적 일자리 기회를 제공하고, 사회적 가치에 공감하게 함으로써 에스닉 일자리의 한계를 극복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들의 주체적 업무분담과 수평적 관계 형성, 민주적 의사소통 등은 이주민이 주체가 될 때 대안적 다문화교육과 다문화주의의 내용이 구성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marriage-migrant women practice multicultural education as a movement from below using cooperativ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ith six women in Cooperative B. Through these methods, it examined how marriage-migrant women overcame the limitations of ethnic labor in the proc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ocial economy, centered on marriage-migrant women’s self-help communities, overcame the limitation of ethnic jobs by offering practical job opportunities and simultaneous beliefs for continuous employment to marriage-migrant women, and making them sympathetic for the goals and values of the society. This study suggests that alternativ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ism can be constructed when marriage-migrant women take charge of work, form horizonta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e democratically.

참고문헌 (30)

  1. [학술지] 김경희 / 2014 / 결혼이주여성 통번역사를 중심으로 본 한국의 에스닉(ethnic) 노동에 관한 연구 / 아시아여성연구 53 (2) : 75 ~ 110
  2. [학술지] 김도균 / 2014 / 사회적 경제조직의 활동과 지역의 사회자본 확장: 대전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 사회과학연구 25 (1) : 281 ~ 306
  3. [학술지] 김윤홍 / 2014 / 시장경제질서와 협동조합기본법 / 저스티스 141 : 31 ~ 60
  4. [단행본] 김정연 / 2015 / 협동조합과 함께 성장하다 : 다문화 협동조합 ○○사례를 중심으로 / 모심과 살림연구소
  5. [학술지] 김현미 / 2008 / 이주자와 다문화주의 / 현대사회와 문화 26 : 57 ~ 105
  6. [학술지] 김효순 / 2016 / 결혼이주여성들의 사회적 기업에서의 노동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한국가족복지학 (51) : 41 ~ 77
  7. [학술지] 박능후 / 2010 /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취업이 한국사회에 미치는 영향 / 민족연구 (41) : 120 ~ 143
  8. [학술지] 박미은 / 2012 / 결혼이주여성의 취업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사회과학연구 23 (4) : 213 ~ 244
  9. [학위논문] 박현주 / 2013 / 여성결혼이민자 고용 사회적기업 연구 : 한국인 관리자 면접자료 분석
  10. [보고서] 여성가족부 / 2016 /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11. [학술지] 오경석 / 2010 / 한국 다문화주의의 재모색 / 인문언어 12 (2) : 447 ~ 478
  12. [학위논문] 이선희 / 2012 / 결혼이민자의 고용 창출을 위한 사회적기업 육성 방안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안산시를 중심으로
  13. [학술지] 이태정 / 2013 / 결혼이주여성의 취업상태에 대한 분석 연구 / 한국인구학 36 (3) : 21 ~ 44
  14. [학위논문] 이혜정 / 2010 / 인천지역의 이주여성과 지역경제에 관한 고찰 : 지속가능한 지역사회를 위하여
  15. [학술지] 임선주 / 2016 / 다문화 사회적 기업의 공동작업장 연구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무’ 사례를 중심으로 - / 지역과문화 3 (2) : 51 ~ 73
  16. [단행본] 장성익 / 2015 / 내 이름은 공동체입니다 / 풀빛
  17. [단행본] 장원봉 / 2006 / 사회적 경제의 이론과 실제 / 나눔의 집
  18. [단행본] 장인실 / 2012 / 다문화교육의 이해와 실천 / 학지사
  19. [학술지] 전은희 / 2014 / 고학력 결혼이주여성들의 구직활동과 취업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평생교육학연구 20 (3) : 233 ~ 267
  20. [단행본] 정태인 / 2013 / 협동의 경제학 / 레디앙
  21. [학위논문] 조혜련 / 2014 / 결혼이주여성의 임파워먼트 과정과 맥락에 관한 연구
  22. [학술지] 최인이 / 2016 / 결혼이주여성의 경제활동을 통한 정체성형성 - 대전지역 결혼이주여성의 직업활동 경험을 중심으로 / 담론201 19 (1) : 5 ~ 43
  23. [단행본] Banks, J. A. / 2008 / 다문화 교육 입문 / 아카데미프레스
  24. [단행본] Banks, J. A. / 2011 / 다문화교육 현안과 전망 / 박학사
  25. [단행본] Denzin, N. K. / 2005 / The Sage H&book of Qualitative Research / Sage
  26. [단행본] Grant. C. A. / 2013 / 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 북코리아
  27. [단행본] Smith, Michael / 2008 / Transnationalism from Below. Edison / Transaction Publishers
  28. [단행본] Spradley, J. P. / 1979 / The ethnographic interview / Holt, Rinehart & Winston
  29. [단행본] Spradley, J. P. . / 1980 / Participant observation / Holt, Rinehart and Winston
  30. [단행본] Strauss, A. / 1998 /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ment grounded theory / Sage

참고문헌 더보기
전체 논문 수 319 / 8 페이지
게시물 검색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