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의 새로운 가치와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제적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는 연구기관

총 권호 수
0 volumes
총 논문 수
0 articles
1970.01

키워드

여성결혼이민자, 사회자본, 공적제도, 네트워크, 다문화
Married immigrant women, social capital, public institution, network, multi-culture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 형성정도와 공적제도의 대한 만족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6년 2월부터 2016년 3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16부의 표본을 활용하였다.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신뢰, 네트워크, 참여, 호혜성, 규범)과 공적제도(출입국관리법, 결혼중개업법, 국적법, 다문화가족지원법, 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 사회통합프로그램, 다문화가족지원조례)에 대한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 중 신뢰가 가장 높고, 참여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공적제도 중 다문화가족지원조례 만족도가 가장 높고 결혼중개업법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출신국별 여성결혼이민자의 네트워크, 호혜성, 참여, 규범은 차이를 보였고, 연령별 네트워크, 참여, 규범은 차이를 보였다. 직업유무별, 결혼과정별, 체류자격별 참여는 차이를 보였다. 셋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 중 신뢰, 네트워크, 참여, 규범은 공적제도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규범과 참여가 높을수록 국적법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이다.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 활성화는 주체적・자발적으로 사회문제에 참여하고 협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주민의 인식이 개선되고 여성결혼이민자를 포함한 다양한 이주민의 차이와 다양성을 인정・수용하는 태도가 향상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ocial capital of married immigrant women formed in Korean society to grasp the satisfaction with related public institutions.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2016 to March, 2016. Here, total 216 samples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of married women immigrants on public institutions. This research focuses on social capital and public institutions as the main factors for the realization of identity politics of married women immigrants. In this study,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determined as trust, network, participation, reciprocity and the norm of social capital and dependent variables are considered as immigration law, marriage brokerage law,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law, foreigners’ treatment law, social integration program operated by local government for the satisfaction of married women immigrants with its public institut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rust, network, participation, and norms of social capital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fluence the satisfaction of public institutions. In particular, the higher level of the norms and participation were related to the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of nationality. Activation of social capital by married women immigrant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and integrate to participate in social problems. It is hoped that the awareness of community residents, and the attitude of recognizing and accepting various diversity of migrants including women married immigrants will be improved.

참고문헌 (37)

  1. [학술지] 강휘원 / 2006 / 한국 다문화사회의 형성 요인과 통합 정책 / 국가정책연구 20 (2) : 5 ~ 34
  2. [보고서] 고경훈 / 2012 / 지방자치단체의 사회적 자본 측정 및 증진방안
  3. [학술지] 김비환 / 2007 / 한국사회의 문화적 다양화와 사회 통합: 다문화주의의 한국적 변용과 시민권 문제 / 법철학연구 10 (2) : 317 ~ 348
  4. [학술지] 김순규 / 2010 /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과 사회적 지지가 한국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한국가족복지학 15 (1) : 5 ~ 20
  5. [학술지] 김영란 / 2013 / 다문화사회 한국의 사회통합과 다문화주의 정책 / 한국사회 14 (1) : 3 ~ 30
  6. [보고서] 김이선 / 2010 / 다문화・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패러다임 구축. 4, 생산적 다문화사회 구현을 위한 정책의 질적 도약 기반 구축
  7. [학술지] 김정훈 / 2010 / 결혼이주여성들의 사회적 자본 수준과 증진방안 / 현대사회와 행정 20 (3) : 51 ~ 87
  8. [단행본] 김태룡 / 2011 / 사회자본과 자원봉사: 관계와 대안 / 집문당
  9. [학술지] 김태준 / 2010 / 다문화 사회에서의 시민교육과 사회적 자본 /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IJACE) 13 (3) : 61 ~ 79
  10. [학술지] 노연희 / 2012 /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연결망 특성에 대한 연구-자아중심적 연결망 분석을 통하여- / 한국사회복지학 64 (2) : 159 ~ 183
  11. [학술지] 박소은 / 2012 / 문화적응스트레스가 결혼이주여성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가족복지학 (38) : 359 ~ 384
  12. [학술지] 박선민 / 2013 /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자본과 가족건강성에 관한 연구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 (2) : 99 ~ 122
  13. [학술지] 박신영 / 2016 / 사회적 자본으로서 취업여성결혼이민자의 자조그룹이 가지는 의미 탐색: 통번역사를 중심으로 / 열린교육연구 24 (4) : 111 ~ 138
  14. [단행본] 박희봉 / 2009 / 사회자본: 불신에서 신뢰로, 갈등에서 협력으로 / 조명문화사
  15. [기타] 법무부 / 2018 / 2017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연보 / 법무부
  16. [학술지] 서재복 / 2018 / 전북지역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참여,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 / 교육종합연구 16 (1) : 173 ~ 193
  17. [학술지] 손신 / 2017 /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이 다문화 지향성과 한국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종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장신논단 49 (4) : 219 ~ 250
  18. [단행본] 오경석 / 2007 /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현실과 쟁점 / 한울
  19. [학술지] 이영균 / 2016 /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과 생활만족도 관계 / 한국공공관리학보 30 (3) : 53 ~ 76
  20. [학술지] 이혜경 / 2013 / 결혼이주여성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가족복지학 18 (4) : 413 ~ 432
  21. [단행본] 윌 킴리카 / 2010 / 다문화주의 시민권 / 동명사
  22. [학술지] 유미현 / 2017 / 사회적자본이 협력적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7 (4) : 37 ~ 46
  23. [학술지] 양인숙 / 2011 / 여성결혼이민자의 인적자본 및 사회자본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 경영경제연구 34 (1) : 237 ~ 266
  24. [학술지] 이소영 / 2014 / 여성결혼이민자의 네트워크가 다문화시민권리에 미치는 영향: 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 다문화교육연구 7 (1) : 1 ~ 28
  25. [학술지] 이종호 / 2017 /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문화적응 간의 관계 / 다문화콘텐츠연구 (24) : 235 ~ 273
  26. [학술지] 전리상 / 2017 /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에 관한 융합적 연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 (6) : 359 ~ 368
  27. [학술지] 정명희 / 2013 / 사회적지지가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양육방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부모효능감을 중심으로 - / 청소년학연구 20 (8) : 257 ~ 276
  28. [학술지] 지종화 / 2009 / 한국의 다문화 국가 현상과 새로운 정책모형 / 지방정부연구 13 (2) : 109 ~ 136
  29. [학술지] 최무현 / 2008 / 다문화시대의 소수자정책 수단에 관한 연구: 참여정부의 ‘다문화정책’을 중심으로 / 한국행정학보 42 (3) : 51 ~ 77
  30. [학술지] 최연선 / 2009 / 다문화가정을 위한 사회통합정책의 현황과 과제 / 임상사회사업연구 6 (3) : 161 ~ 179
  31. [보고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2008 /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Ⅰ): 한국사회의 수용 현실과 정책 과제
  32. [학술지] 한수연 / 2017 /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 문화적응스트레스, 자녀의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 교육방법연구 29 (1) : 1 ~ 23
  33. [학술지] 홍기원 / 2009 / 한국다문화정책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 한국공공관리학보 23 (3) : 169 ~ 189
  34. [보고서] 홍영란 / 2006 / 국가발전을 위한 사회적 자본 형성 전략 연구
  35. [학술지] 홍은미 / 2015 /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다문화와 평화 9 (3) : 101 ~ 121
  36. [학술지] James Coleman. / 1988 /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37. [학술지] Robert Putnam. / 1993 / 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 The American Prospect 13

참고문헌 더보기
전체 논문 수 319 / 8 페이지
게시물 검색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