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의 새로운 가치와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제적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는 연구기관

총 권호 수
0 volumes
총 논문 수
0 articles
1970.01

키워드

다문화 가정, 미용교육, 교육 경험, 교육 관심분야, 미용교육의 확대
Multicultural family, beauty education, Education experience, field of interest in education, expansion of beauty education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미용교육 경험과 관심분야에 관한 연구를 반영한 전문적인 미용기술교육을 제공하여 다문화가정의 안정적인 정착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 교육 경험으로 ‘헤어미용‘와 ’네일미용’ 분야 교육을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헤어미용’을, 여성은‘ 메이크업’ 교육을 받은 경험이 많았고, 한국에 20년 이상 거주한 경우 ‘네일미용’ 교육을 경험한 것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미용 교육 관심분야로 미용 관련 직업에 대한 전망이 좋은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한국 거주 기간이 길수록,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또한 미용 분야에 취업 희망분야로 ‘헤어미용’와 ‘네일미용’ 순으로 조사되었다. 과거 미용교육 경험과 미용 관련 직업 전망 및 취업 희망 등의 관심 분야에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미용 분야의 취업과 교육을 경험할 수 있는 교육 확대와 양질의 교육과정 내용 및 그에 따른 설계가 필요하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한 미용 교육의 기회가 주어져야 할 것을 제언한다.

This study aims at the stable settle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by providing professional beauty technology education that reflects research on beauty education experiences and areas of interest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families. First, it was found that they experienced the most education in the areas of 'hair beauty' and 'nail beauty' in the field of beauty education experience. If you have lived in Korea for more than 20 years, you have experienced high ‘nail beauty’ education. Second, the survey on the degree of interest in cosmetology education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cognized that the prospects for cosmetology-related occupation were good. Women are better than men, The longer you stay in Korea, The higher the average monthly income, the better the recognition. In addition, the fields that wanted employment in the beauty sector were preferred in the order of 'hair beauty' and 'nail beauty'. In addition, it has been found that most of the differences between past beauty education experience and areas of interest, such as job prospects and job hopes, are consistent with those of the pas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beauty education to experience employment and education in various beauty fields, the contents of high quality beauty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purpose and design accordingly. It is suggested that the opportunity of beauty education through various experiences should be given.

참고문헌 (21)

  1. [단행본] 박윤경 / 2018 / 다문화교육의 이해와 실천 / 정민사
  2. [학위논문] 김민지 / 2014 / 여성 결혼이민자의 보건교육 요구도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안성시를 중심으로
  3. [학위논문] 김신영 / 2015 / 가사 실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취업지원프로그램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4. [학위논문] 김예슬 / 2014 / 결혼이주여성의 미용직업훈련 현황 및 개선방안
  5. [학술지] 곽영길 / 2010 / 지방의 다문화가정을 위한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 한국자치행정학보 24 (1) : 217 ~ 238
  6. [기타] / 2017 / 다문화가족지원법 / 법률 제15204호
  7. [학위논문] 박지현 / 2011 / 학교 다문화교육 정책의 한계와 개선 방향
  8. [학위논문] 박정은 / 2015 / 미용계열학과 전공 만족도와 직업 선호도에 관한 연구
  9. [학술지] 박창원 / 2014 / 다문화 사회를 위한 통합과 공존의 조화 / 이화어문학회 34 : 5 ~ 36
  10. [학위논문] 방월정 / 2015 / 한국과 중국의 다문화교육과 정책에 관한 비교 연구
  11. [학위논문] 서승재 / 2012 / 다문화가정을 위한 직업교육 프로그램 제안 : 서울시 강동구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12. [학술지] 서혁 / 2007 / 다문화 가정 현황 및 한국어 교육 지원 방안 / 인간연구 (12) : 57 ~ 92
  13. [단행본] 성정현 / 2014 / 가족복지론 / 양서원
  14. [학술지] 성향숙 / 2013 / 결혼이민여성의 직업교육훈련 및 취업관련 시행계획의 비판적 검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 (12) : 6186 ~ 6195
  15. [학술지] 이민경 / 2008 / 한국사회의 다문화 교육 방향성 고찰: 서구 사례를 통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 교육사회학연구 18 (2) : 83 ~ 104
  16. [학술지] 유진영 / 2019 / 독일의 다문화 청소년 직업교육 지원 정책 연구 / 직업능력개발연구 22 (2) : 33 ~ 56
  17. [학술지] 임정빈 / 2019 / 캐나다 외국인 우수인재 유치정책 연구 / 다문화와 평화 13 (3) : 64 ~ 85
  18. [보고서] 정동철 / 2016 / 데이터기반 교육정책 분석연구(Ⅴ) : 교육소외계층을 위한 교육지원 실태 분석
  19. [학술지] 최재민 / 2018 / 이주여성의 뷰티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 / 다문화와 평화 12 (2) : 99 ~ 120
  20. [보고서] 행정안전부 / 2017 /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 통계분석 결과
  21. [보고서] Katharine H. S. Moon / 2015 / South Korea's Demographic Changes and their Political Impact

참고문헌 더보기
전체 논문 수 319 / 6 페이지
게시물 검색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