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의 새로운 가치와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제적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는 연구기관

총 권호 수
0 volumes
총 논문 수
0 articles
1970.01

키워드

다문화, 유아다문화교육, 다문화 가정, 다문화가정 유아, 은유, 은유분석
Multi-culture, children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metaphor, and metaphor analysis

초록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지역의 예비유아교사 154명을 대상으로,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에 대한 개념 분석을 통해 ‘다문화’에 대한 인식을 점검하고, 유아다문화교육 및 교육의 대상자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에 대한 개념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가정의 유아’, ‘다문화 가정’, ‘유아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개념에 따른, ‘다문화 가정의 유아’, ‘다문화 가정’, ‘유아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자들의 언어적 은유를 자료로 수집하고 범주화하여 주제에 대한 사고 유형과 이해를 알아보는 은유분석방법을 통해 ‘다문화’, ‘다문화 가정의 유아’, ‘다문화 가정’, ‘유아다문화교육’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는 ‘다문화’에 대해 ‘통합’, ‘동화’, ‘주변화’, ‘분리’ 순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가정의 유아’에 대한 인식으로 통합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가능성, 숙제, 주변화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인식 또한 통합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주변화와 숙제, 현재 존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다문화교육’에 대해서는 교육의 당위성, 다문화교육에 대한 현실비판, 다문화교육의 목적, 다문화교육의 내용, 다문화교육의 가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개념에 따른 ‘다문화 가정의 유아’, ‘다문화 가정’, ‘유아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는 ‘다문화’에 대한 개념과 ‘다문화 가정의 유아’, ‘다문화 가정’, ‘유아 다문화교육’에 대한 일관성 있는 이해를 가지지 않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예비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다문화 교육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할 때 ‘다문화’에 대한 개념을 토대로, 다문화교육의 목적, 대상, 범위, 내용 등에 대해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spect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multiple cultures and explore general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ubjects in education by analyzing the concept of 'multiple cultures' targeting 154 persons in Seoul and Gyeonggi-do. Subjects of study set for this are as follow: First, how is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the concept of 'multiple cultures'? Second, How is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multicultural families', and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Third, how is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multicultural families', and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concept of 'multiple cultures'? The results that analyzed 'multiple cultures'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multicultural families', and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are as follow: First,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 'multiple cultures' in order of 'integration', 'assimilation', 'marginalization', and 'separation'. Second,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has found that integration is highest, followed by possibility, homework, and marginalization.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found that integration is also highest, followed by marginalization, homework, and the current existence. 'Chidren multicultural education' has found to be in order of the appropriateness of education, criticism about rea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purpos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valu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ird,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multicultural families', and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concept of 'multiple cultures' has found to be in discord with each other. Based on these results of study, it has found that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do not understand the concept of 'multiple cultures',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multicultural families', and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consistently. This can imply that detailed discussions on purposes, subjects, ranges, and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multiple cultures' when the directiv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suggested i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 training courses.

참고문헌 (45)

  1. [학술지] 공민정 / 2015 /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누리과정에 기초한 다문화교육의 실태 / 열린유아교육연구 20 (2) : 87 ~ 111
  2. [학술지] 구민정 / 2012 / 유치원 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 교육혁신연구 22 (1) : 89 ~ 107
  3. [학술지] 김경숙 / 2007 / 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 가정 유아 부모의 특성과 유치원 교육 참여에 대한 질적 연구 / 특수아동교육연구 9 (4) : 311 ~ 335
  4. [학술지] 김정원 / 2009 / 다문화가정 부모 및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3 (2) : 5 ~ 26
  5. [학술지] 박미경 / 2008 /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 교육의 개념,실천 형태 및 실천의 어려움 / 유아교육연구 28 (2) : 5 ~ 27
  6. [학술지] 배지희 / 2014 / 예비유아교사교육과정에서의 다문화교육 방향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담론분석 / 유아교육연구 34 (3) : 29 ~ 54
  7. [학술지] 변종헌 / 2016 / 다문화 시민교육의 방향과 과제 / 윤리교육연구 (40) : 111 ~ 131
  8. [기타] 보건복지부 / 2015 / 보육통계
  9. [학술지] 서정아 / 2011 / 유치원 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생각 / 한국교원교육연구 28 (2) : 1 ~ 20
  10. [학술지] 서종남 / 2010 / 한국사회의 다문화 관련 용어에 관한 연구 - 현황분석 및 다문화교육 관계자 FGI를 중심으로 - / 교육문화연구 16 (2) : 145 ~ 168
  11. [학술지] 심성경 / 2008 / 다문화 가정 유아교육에서 직면하는 어려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 한국교원교육연구 25 (2) : 183 ~ 200
  12. [인터넷자료] 안전행정부 / 015년 외국인주민현황조사결과
  13. [학술지] 오영훈 / 2015 / 다문화사회를 위한 유아기 다문화교육에 관한 연구: 유아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 효학연구 (21) : 137 ~ 156
  14. [단행본] 오예옥 / 2011 / 언어사용에서의 은유와 환유 / 역락
  15. [학술지] 오유미 / 2012 / 예비유아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및 효능감 연구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16 (3) : 41 ~ 63
  16. [학술지] 유효순 / 2011 /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 인식 및 다문화교육 실제 간의 관계 / 유아교육학논집 15 (6) : 23 ~ 40
  17. [학술지] 윤갑정 / 2011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실태 및 교사연수 요구도 / 유아교육학논집 15 (6) : 63 ~ 87
  18. [학술지] 윤갑정 / 2010 / 다문화시대 유아교사에게 요구되는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 유아교육연구 30 (3) : 169 ~ 194
  19. [학술지] 윤현숙 / 2008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 비교 / 유아교육학논집 12 (1) : 415 ~ 430
  20. [학술지] 이명희 / 2009 / 다문화교육에 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인식 및 실태 / 인문학논총 14 (2) : 259 ~ 289
  21. [학술지] 이보라 / 2010 / 다문화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제 / 변형영유아교육연구 4 (1) : 47 ~ 68
  22. [학술지] 이승은 / 2014 /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가정 유아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 분석 / 한국보육학회지 14 (1) : 139 ~ 164
  23. [학술지] 이연선 / 2013 / 유아다문화교육정책 및 실제에 관한 비판적 담론분석: 정책, 교육청, 현장교사를 중심으로 / 유아교육연구 33 (6) : 181 ~ 204
  24. [학술지] 이연선 / 2015 / 은유와 은유분석 고찰을 통한 교육연구에서의 은유분석 역할탐구 / 유아교육학논집 19 (1) : 253 ~ 275
  25. [학술지] 이연선 / 2014 /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은유(metaphor) 분석 /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 (4) : 571 ~ 589
  26. [학술지] 이연선 / 2015 /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가정에 대한 은유분석 / 유아교육학논집 19 (4) : 223 ~ 244
  27. [학술지] 이은진 / 2008 / 유아교육기관 다문화 교육 운영 실태 및 요구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 (4) : 269 ~ 297
  28. [학술지] 이정우 / 2007 / 다양한 인종?민족 집단에 대한 예비교사의 고정관념 / 시민교육연구 39 (1) : 153 ~ 178
  29. [학술지] 이춘자 / 2008 / 다문화 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분석 / 한국보육학회지 8 (3) : 19 ~ 47
  30. [학술지] 이현숙 / 2000 / 유아교육에서의 반편견교육의 적용 / 경복논총 4 : 299 ~ 321
  31. [학술지] 정선아 / 2009 / 다문화가정 유아를 위한 정책에 대한 연구 -유아 삶과 권리 보장의 관점에서- / 유아교육연구 29 (1) : 253 ~ 272
  32. [학술지] 정선주 / 2015 / TV 프로그램에 재현되는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특성: EBS <다문화고부열전>을 중심으로 / 다문화교육연구 8 (2) : 97 ~ 122
  33. [학술지] 지성애 / 2016 / 유아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의인식 및 실태 분석 / 유아교육학논집 20 (1) : 5 ~ 33
  34. [학술지] 최유경 / 2011 / 다문화 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2 (1) : 241 ~ 259
  35. [학술지] 최일선 / 2010 / 유아다문화교육의 연구동향과 과제 / 다문화교육 1 (2) : 119 ~ 133
  36. [학술지] 하수연 / 2014 / 다문화가정 유아교사의 소진 경험 요인, 양상, 감소 방안에 관한 연구 / 다문화와 평화 8 (2) : 141 ~ 163
  37. [학술지] 한석실 / 2007 / 다문화시대 유아교사교육의 방향 모색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 (1) : 29 ~ 53
  38. [학술지] 한석실 / 2009 / 다문화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 한국보육학회지 9 (2) : 53 ~ 70
  39. [학술지] Armstrong, S. L. / 2008 / Using Metaphor Analysis to Uncover Learners' Conceptualizations of Academic Literacies in Postsecondary Developmental Contexts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Learning 15 (9) : 211 ~ 218
  40. [단행본] Banks, J. A / 2008 / 다문화교육 입문 / 아카데미프레스
  41. [단행본] Berry, J. W. / 1980 / Acculturation: Theory, models and new findings / Westview Press : 9 ~ 25
  42. [단행본] Lakoff, G / 2006 / 삶으로서의 은유 수정판 / 박이정
  43. [단행본] Marshall, P. L. / 2002 / Cultural diversity in our schools / Wadsworth
  44. [학술지] Silin, J. G. / 1985 / Authority as knowledge: A problem of professionalizati / Young Children 40 (3) : 41 ~ 45
  45. [학술지] Singerland, E. / 2004 / Conception of the self in the Zhuangzi: Conceptional metaphor analysis and comparative thought / Philosophy East & West 54 (3) : 322 ~ 342

참고문헌 더보기
전체 논문 수 319 / 10 페이지
게시물 검색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