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의 새로운 가치와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제적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는 연구기관

총 권호 수
0 volumes
총 논문 수
0 articles
1970.01

키워드

다문화범주화, 다문화수용성, 교육 자본화, 질적 연구
Categorization of multi-culture, Multi-cultural acceptance, Educational capitalization, Qualitative research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출신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자신들이 다문화로 범주화 되는 것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또 다문화에 대한 수용성은 어느 정도이며 이들을 인적 자원으로서 교육 자본화 할 방법이 무엇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로서 문화영역분석의 자유기술 기법과 심층면담, 관찰을 통한 분석적 귀납이 차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은 자신들을 ‘다문화’로 호칭하고 범주화 하는 것에 대하여 부정적이지 않았으며 다문화에 대한 수용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문화 가정 청소년들의 다문화 역량 강화를 통한 교육 자본화를 위해서는 다문화에 초점을 맞춘 별도의 지원보다는 개개인이 가진 글로벌 연결고리들을 활용하고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나이에 맞는 정책적 지원과 함께 다문화 가정을 이룬 부모들에 대한 교육이 중요함을 도출하였다. 아울러 한국인 모두를 대상으로 지속적인 글로벌 시민교육이 진행되어 아직도 남아있는 출신 국에 따라 달리 바라보고 행동하는 편견과 고정관념이 사라지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performed for the multi-cultural household teenagers to know how they accept multi-culture, the level of their acceptance, and the ways of educationally developing them for educational capitalization. The study employed qualitative research with free writing technique, in-depth interview and observations in cultural area analysis. The result of the study is that the teenagers don't feel negative toward being categorized as multi-cultural, and the level of their accepting multi-culture is very high. To make the multi-cultural teenagers the efficient and effective educational capital, it had better to focus on their personal global links and potential assets supporting age-customized policies, instead of the present additional "multi-cultural" support, and to educate their parents with proper parental classes. At the same time it is essential to have programs for Koreans to make them global citizens to shy away from the stereotypical and one-side view against those from third countries.

참고문헌 (39)

  1. [단행본] 교육부 / 2017 / 2017 다문화 교육 지원 계획 / 교육부
  2. [단행본] 교육부 / 2018 / 다문화 교육 지원 계획 / 교육부
  3. [학위논문] 김기영 / 2016 / 다문화 교육의 이중적 함의에 대한 질적 연구 : 경기도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4. [학술지] 김기영 / 2017 / 한국 다문화 교육 정책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 입법과 정책 9 (1) : 371 ~ 393
  5. [학술지] 김성길 / 2010 / 다문화가정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개발 기초연구 : 다문화교육의 주체는 누구인가? /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IJACE) 13 (2) : 31 ~ 50
  6. [학술지] 김소정 / 2012 / 여성결혼이민자의 평생교육 요구에 관한 연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3 (3) : 1084 ~ 1090
  7. [단행본] 김영천 / 2017 / 질적연구방법론Ⅴ. Data Analysis / 아카데미프레스
  8. [학위논문] 김은영 / 2012 / 문화적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 다문화가족과 일하는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9. [단행본] 김현미 / 2017 / 이주의 여성화와 젠더인권 / 다문화지원본부
  10. [보고서] 김현철 / 2016 / 다문화청소년의 다문화정체성 발달특성 분석
  11. [학위논문] 박선희 / 2015 /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다문화역량에 관한 영성 지능과 인권 태도의 구조관계 분석
  12. [학술지] 박애선 / 2017 /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 / 한국웰니스학회 12 (1) : 93 ~ 106
  13. [학위논문] 박진우 / 2015 /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자아정체성 형성경험에 관한 연구
  14. [학술지] 이경희 / 2011 / 한국 다문화교육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교육사회학연구 21 (1) : 111 ~ 131
  15. [학술지] 이병준 / 2007 / 다문화 역량이란 무엇인가? / 한국교육사상연구회 37 : 1 ~ 11
  16. [학술지] 이창호 / 2008 /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 실태 및 지원방안 / 교육연구정보 54 : 54 ~ 62
  17. [단행본] 여성가족부 / 2012 / 다문화수용성 진단도구 / 아카데미프레스
  18. [기타] 연합뉴스 / 2015 / 다문화로 불리는 게 싫은 아이들. 9. 30
  19. [단행본] 유네스코 아시아 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 2008 / 다문화사회의 이해(편) / 동녘
  20. [학술지] 윤인진 / 2011 / 한국인의 국민정체성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수용성 / 통일문제연구 23 (1) : 143 ~ 192
  21. [학술지] 정문경 / 2015 / 다문화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학연구 22 (11) : 137 ~ 162
  22. [기타] 중앙일보 / 2017 / 탈북인들 “별난 호칭 사절 합니다” 9. 18
  23. [학술지] 최항석 / 2010 / 평생교육으로서의 다문화주의: 평생학습사회에서의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육자본화 논고 / 시민인문학 18 : 9 ~ 32
  24. [학위논문] 하인호 / 2017 / 다문화 수용성이 귀화선수의 축구 국가대표 선발 인식에 미치는 영향」.
  25. [단행본] 한준상 / 2007 / 교육자본론 / 학지사
  26. [단행본] 황정미 / 2007 / 한국사회의 다민족 다문화 지향성에 대한 조사연구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7. [단행본] Bennett, C. I. / 2007 / Comprehensive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 Pearson
  28. [학술대회] Chen, G. M. / 1997 / Review of the Concept of Intercultural Sencitivity / the Biennial Convention of the Pacific and Asian Communication Association ED : 408 ~ 634
  29. [단행본] Glaser, B. G. / 1967 /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 Aldine
  30. [학술지] Hassana, A. / 2011 / Quality multilingual and multicultural education for lifelong learning / Int Rev Educ 57 : 529 ~ 539
  31. [단행본] Kelly, C. / 1995 / The cross-cultural adaptability inventor mannual / National Computer System
  32. [학술지] Laumann, E. / 1965 / Subjective social distance and urban occupational stratification /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1 : 26 ~ 36
  33. [단행본] Lum, D. / 2003 / Culturally competent practice: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diverse groups and justice issues / Brooks/Cole
  34. [단행본] Lynch, E. W. / 1992 / Developing cross-cultural competence : A guide for working with young children and their families / Brookes
  35. [학술지] MgPhatter, A. / 1997 / Cultural competence in child welfare: What is it? How do we achieve it? What happens without it? / Child Welfare 76 (1) : 255 ~ 278
  36. [단행본] Rothman, J. / 2008 / Cultural competence in process and practice: Building bridge / Pearson education Allyn & Bacon
  37. [학술지] Shibao G. / 2014 / Revisioning education for all in the age of migration: Global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lifelong learning / Int Rev Educ 60 : 481 ~ 497
  38. [학술지] Stier, J. / 2003 / Internationalization, ethnic diversity and the acquisition of intercultural competence / Intercultural Education 14 (1) : 77 ~ 91
  39. [학술지] Weaver, H. N. / 2004 / The elements of cultural competence : Application with native american clients / Journal of Ethnic and Cultural Diversity in Social Work 13 (1) : 19 ~ 35

참고문헌 더보기
전체 논문 수 319 / 7 페이지
게시물 검색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