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의 새로운 가치와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제적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는 연구기관

총 권호 수
0 volumes
총 논문 수
0 articles
1970.01

키워드

통일, 북한이탈주민, 사회통합, 통일공감대
unification, North Korean defector, social integration, consensus on unification

초록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통일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와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내어 통일한국에서 내적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북한이탈주민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근거이론 접근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통일이후 발생하게 될 사회문제로 북한이탈주민은 문화적・이념적 갈등과 사회적 양극화 심화, 일자리 문제 등을 들고 있으나 사회전반에서 북한에 대한 인식 전환과 통일공감대가 확산되고, 사회양극화 해소 및 내적 사회통합 방안이 마련된다면 통일은 궁극적으로 남북한 모두에게 이익이 된다는 통일의 효과성을 전망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통일대비 북한이탈주민의 사회통합 정책의 방향으로 1)사회문화교류 활성화, 2)남북한 주민의 심리・사회적 통합, 3)계층갈등 해소를 위한 일자리 창출, 4)시민교육과 인권감수성 교육 확대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North Korean defectors' negative attitude of the unification of Korea and develop an alternative policy for social integration. To do this, in-depth interview was performed with nine North Korean defectors to collect data, which were then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grounded theory. While the North Korean defectors expected such social problems as cultural and ideological conflicts, worsening of social polarization, and job crisis after the unification, they considered that the unification would ultimately benefit both North and South Korea if the whole society, with the spread of the consensus on the unification, changed its perception on North Korea, relieved social polarization, and developed a plan to create social integration internally.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policies for the North Korean defectors' social integration in preparation for the unification: 1) to enhance social and cultural exchanges; 2) to integrate the people from North and South psychologically and socially; 3) to create jobs in pursuit of inter-class conflict resolution; 4) to expand citizenship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education.

참고문헌 (35)

  1. [학술대회] 고혜원 / 2008 / 새터민의 직업훈련 현황과 과제 / 2008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대회
  2. [학술지] 권경득 / 2011 / 북한이탈주민의 ‘삶의 질’이 지역정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아산시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3 (4) : 207 ~ 230
  3. [학술지] 김상범 / 2016 /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의 계승·발전 방안 연구 / 북한학연구 12 (1) : 147 ~ 185
  4. [학술지] 김연희 / 2009 / 북한이탈청소년의 학교중도탈락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한국사회복지학 61 (4) : 191 ~ 215
  5. [단행본] 김영천 / 2008 / 질적 연구방법론 / 서울 문음사
  6. [학술지] 김윤선 / 2015 / Multiculturalism Is Good, But We Are Not Multicultural: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Perceptions of Multiculturalism / 한국교육학연구 21 (2) : 325 ~ 350
  7. [학술지] 김창근 / 2018 / 북한이탈주민 지역사회통합 제고 방안: 지역거버넌스의 역할을 중심으로 / 윤리연구 1 (121) : 197 ~ 225
  8. [학술지] 김학태 / 2015 / 다문화사회의 사회통합을 위한 법정책 연구 - 한국과 EU의 사회통합 모델을 중심으로 - / 유럽헌법연구 (18) : 127 ~ 170
  9. [학술지] 김현경 / 2009 / 북한이탈주민의 삶의 질이 외상 경험 이후 심리적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연구 40 (2) : 363 ~ 396
  10. [학술지] 박명규 / 2009 / 특집: 남북관계와 비대칭적 분단국체제론 / 통일과 평화 1 (1)
  11. [학술지] 박선영 / 2009 / 일 지역사회 저소득 노인의 우울,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한 연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3 (1) : 78 ~ 90
  12. [학술지] 박철민 / 2014 / 개인적, 경제적, 사회문화적 특성이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 분석 -사회적응수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한정치학회보 22 (1) : 31 ~ 63
  13. [학술지] 서유경 / 2013 / 현행 북한이탈주민 지원정책의 두 가지 근본문제와 다문화주의적 사회통합 해법 / 대한정치학회보 21 (2) : 301 ~ 327
  14. [학술지] 설진배 / 2013 / 북한이탈여성의 자존감과 경제적 적응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평화학연구 14 (4) : 291 ~ 314
  15. [학술지] 설진배 / 2014 / 북한이탈주민의 사회통합 방안: 경제적 적응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한국동북아논총 19 (1) : 157 ~ 174
  16. [학술지] 설진배 / 2015 / 사회통합관점에서의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방향: 델파이 조사를 통한 북한이탈주민 수요분석을 중심으로 / 평화학연구 16 (5) : 193 ~ 216
  17. [학술지] 유해숙 / 2009 / 새터민의 무력감 원인과 임파워먼트 전략 / 동향과 전망 (77) : 352 ~ 388
  18. [학술지] 윤인진 / 2007 / 북한이주민의 건강과 경제적응의 관계 / 보건과 사회과학 (21) : 67 ~ 99
  19. [학술지] 윤철기 / 2014 / 북한이탈주민의 노동권과 마음의 통합 : 인천시 남동구의 비정규직·비공식분야 노동자의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 법과인권교육연구 7 (2) : 103 ~ 131
  20. [학술지] 윤철기 / 2016 / 남북한 사회통합의 현안과 통일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 남북한 상호이해교육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 정치·정보연구 19 (1) : 417 ~ 454
  21. [학술지] 이기동 / 2014 / 통일환경의 변화와 「민족공동체 통일방안」 / 한국동북아논총 19 (2) : 189 ~ 208
  22. [학술지] 이수정 / 2014 / 접촉지대와 경계의 (재)구성: 임대아파트 단지 남북한출신주민들의 갈등과 협상 / 현대북한연구 17 (2) : 85 ~ 126
  23. [학위논문] 이승민 / 2013 / 다문화 여성의 초등학생 자녀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상생과 행복을 위한 감인대의 삶
  24. [학술지] 이신욱 / 2016 / 북한 이탈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사회통합 전망과 과제 – 디아스포라와 다문화 논의를 중심으로 / 윤리연구 1 (109) : 255 ~ 279
  25. [학술지] 이우영 / 2018 / 남북정상회담과 사회문화교류 / 통일정책연구 27 (1) : 47 ~ 64
  26. [보고서] 전경숙 / 2019 / 통일대비 경기도 사회통합 추진전략과 정책과제
  27. [학술지] 전리상 / 2017 /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응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인문사회 21 8 (3) : 275 ~ 296
  28. [학술지] 정혜원 / 2017 / 다문화가정 한국인 남편의 성공적인 결혼적응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7 (5) : 337 ~ 356
  29. [단행본] 조용환 / 2008 / 질적 연구방법과 사례 / 경기도 교육과학사
  30. [학술지] 최경환 / 2007 / 북한이탈주민의 가치관 변화 / 통일문제연구 19 (2) : 343 ~ 371
  31. [단행본] Habermas, Jürgen / 1973 / Legitimationsprobleme im Spätkapitalismus / Suhrkamp Verlag
  32. [단행본] Katja, Schneider / 2011 / Assimilation und Integration – eine Begriffsanalyse aus der Perspekte der Rechtswissenschaft / ZAR
  33. [단행본] Kreckel, Reinhard / 1999 / Surviving the Twentieth Century: Social Philosophy from the Frankfurt School to Columbia Faculty Seminars / Transaction Publisher
  34. [단행본] Sherman, E. / 2004 / Qualitative research in social work / Columbia University Press
  35. [학술지] Taylor, Charles / 2012 / Interculturalism or multiculturalism? / Philosophy and Social Criticism 38 (4-5) : 38

참고문헌 더보기
전체 논문 수 319 / 7 페이지
게시물 검색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