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의 새로운 가치와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제적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는 연구기관

총 권호 수
0 volumes
총 논문 수
0 articles

키워드

함박마을, 고려인, 한국인, 거주경험, 공존
Hambak Village, Koryo-saram, Korean, Residential experience, co-exist

초록

본 연구는 고려인이 집단으로 거주하는 인천 함박마을 주민의 거주 경험을 탐색하고 이를 통하여 주민의 상생과 공존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려인과 한국인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하고 이들이 인식하는 함박마을의 특성과 한국인 주민의 어려움, 고려인 주민의 어려움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주민들이 인식하는 함박마을은 고려인들이 집단을 형성하여 고려인이 살기 편한 환경을 갖추었다. 고려인들은 한국인과 다른 문화를 가지고 있어 이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한국인들은 마을을 떠나려고 하고, 고려인들은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있었다. 그리고 러시아 상권들이 형성되어 다양한 문화가 혼종된 도시로 변화되고 있었다. 둘째, 한국인의 함박마을 거주 어려움은 소통이 안 되는 고려인 때문에 일상생활에 불편을 느끼고 있었으며 문화가 맞지 않은 고려인을 부담스러워했다. 또한, 돌봄이 필요한 자녀들의 문제와 고려인들의 결집은 한국인들을 불안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들을 이해하기 위해 러시아어를 배우려고 노력하였으나 어려워하였다. 셋째, 함박마을에 거주하는 고려인의 어려움은 한국어 부족으로 주민들과 소통이 부재하며 한국인에게 다양한 차별을 경험하고 있었다. 또한, 개인이나 가정까지 다양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거나 자신의 복잡한 정체성 때문에 혼란스러워했다. 그리고 한국 생활에 있어, 비자의 취업제한으로 인해 경제적으로 힘들어하였다. 이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함박마을 주민의 상생과 공존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이주민과 한국인들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마을 문화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residents of Hambak Village in Incheon where Koryo-saram lives and from this, propose a social integration plan for residents. In order to do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Koryo-sarams and Koreans. Characteristics of the Hambak Village perceived by them, the difficulties of residents the are Korean and the difficulties of residents that are Koryo-saram a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Hambak Village, perceived by residents has an environment where Koryo-sarams form a group, making it easier for Koryo-saram to live. Koryo-saram has different cultures from Korean, so Koreans who cannot accept them are trying to leave, and Koryo-sarams were constantly flowing in. In addition, Russian commercial districts were formed and transformed into a city with a mixture of various cultures. Second, Koreans' difficulty in living in Hambak Village was inconvenient in their daily lives due to Koryo-saram who could not communicate, and they felt burdened by them who had different cultures. Also, the problems of children in need of care and the gathering of Koryo-sarams made Koreans anxious. They tried to learn Russian to understand them, but they found it difficult. Third, the difficulty of Koryo-sarams living in Hambak Village was that they were experiencing discrimination against various Koreans due to the lack of Korean language. Furthermore, individuals or families were not provided with various information or were confused by their complex identity. they suffered financially due to adaptation to Korean life and restrictions on employment of visa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co-live and co-exist plans for the residents of Hambak Village was proposed.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a village culture will be established in which migrants and Koreans can unite together.

참고문헌 (25)

  1. [학술지] 강성희 / 2021 / 안산 ‘땟골 마을’ 고려인들의 학습 문화기술지 연구 / 인문사회 21 12 (3) : 1309 ~ 1324
  2. [학술지] 곽동근 / 2017 / 고려인동포의 ‘귀환’과 도시재생 -안산 고려인마을을 중심으로- / 역사문화연구 (64) : 175 ~ 211
  3. [학술지] 김경학 / 2018 / 국내 고려인 아동의 국제 이주 경험과 초국적 정체성: 광주광역시 고려인 아동을 중심으로 / 비교문화연구 24 (2) : 61 ~ 103
  4. [학술지] 김경학 / 2014 /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한국 이주와 정착 : 광주 ‘고려인마을’을 중심으로 / 국제지역연구 17 (4) : 259 ~ 282
  5. [학술지] 김경학 / 2019 / 광주광역시 고려인마을–이주와 정착- / 문학들 55 : 272 ~ 299
  6. [학술지] 김봉섭 / 2020 / 대한민국임시정부와 재외동포 / 민족연구 (76) : 152 ~ 170
  7. [학술지] 김성원 / 2021 / 가족 생태학 관점으로 바라본 광주 고려인 마을에 대한 문화 기술지 연구: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작 연구1 / 유아교육학논집 25 (4) : 223 ~ 254
  8. [학술대회] 김승력 / 2017 / 안산 고려인 현황과 지원활동 /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내학술회의
  9. [학술지] 김현미 / 2018 / 사회문제의 측면에서 본 다문화가족문제의 실태분석 및 해결방안 연구 / 산업진흥연구 3 (1) : 61 ~ 72
  10. [학술지] 남부현 / 2017 /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의 문화적응 과정 경험연구 / 지역과문화 4 (1) : 63 ~ 90
  11. [학술지] 남부현 / 2022 /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의 생태체계 속 삶의 적응 모습 : 지역사회 교사 경험을 중심으로 /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11 (2) : 83 ~ 120
  12. [학술지] 박봉수 / 2021 / 코로나19 감염병 팬데믹으로 고려인 생태계에 나타난 양상에 관한 연구 - 연수구 함박마을을 중심으로 - / 재외한인연구 (55) : 53 ~ 79
  13. [학술지] 배명숙 / 2017 / 동대문 고려인 커뮤니티의 현황과 변화 / 고조선단군학 36 (36) : 127 ~ 161
  14. [학술지] 석주연 / 2017 / 고려인의 코드 전환과 의사소통 전략 연구: 광주 월곡 마을 거주 고려인의 경우 / 화법연구 (37) : 65 ~ 89
  15. [학술지] 선봉규 / 2017 /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 현황 및 과제: 광주광역시 거주 고려인동포 자녀를 중심으로 / 인문사회 21 8 (2) : 803 ~ 829
  16. [보고서] 양수진 / 2020 / 인천광역시 고려인 주민 실태조사 및 지역사회 정착 지원방안
  17. [단행본] 오정은 / 2019 / 복수국적 관련 법제 고찰 / 제주 재외동포재단
  18. [학위논문] 유병상 / 2020 /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근린상권 활성화 방안 연구: 커뮤니티 비즈니스를 중심으로
  19. [학술지] 이남주 / 2017 / 국내거주 고려인 부부들의 적응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근거이론을 중심으로- / 상담학연구 18 (3) : 311 ~ 331
  20. [학술지] 정진아 / 2014 / 국내 거주 고려인, 사할린 한인의 생활문화와 한국인과의 문화갈등 / 통일인문학 58 : 35 ~ 65
  21. [학술지] 한정훈 / 2020 / 이주(移住)의 서사(敍事)와 고려인 공동체의 미래 ― 광주 고려인마을 거주 고려인의 구술생애담을 대상으로 ― / 호남학 (68) : 63 ~ 115
  22. [학술지] 희정 / 2019 / 광주 월곡동 고려인 마을, 뿌리내리는 이들을 만나다 / 오늘의 문예비평 113 : 62 ~ 80
  23. [단행본] Glaser, B. G / 1967 /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 Transaction Publishers
  24. [단행본] Stake, R. E / 1995 /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 Sage
  25. [단행본] Yin, R. K / 2003 /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 Sage

참고문헌 더보기
전체 논문 수 319 / 3 페이지
게시물 검색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