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의 새로운 가치와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제적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는 연구기관

총 권호 수
0 volumes
총 논문 수
0 articles
1970.01

키워드

다문화 배경 유아, 교사경험, 한국어 교육
Young Children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 Experiences of Teachers, Korean Language Education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 배경 유아에 대한 한국어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지금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꼭 필요한 부분이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정책유치원 교사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심층 면담을 통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교사들은 다양한 배경의 다문화 유아 한국어 교육을 위한 교사 연수를 필요로 하고 있다. 현장교사들의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것이지만 연수를 통해서 전문성을 기르는 것이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둘째 통합 언어 교육에 비하여 개별 언어 교육 프로그램이나 교육콘텐츠의 지원이 상대적으로 충분치 않다는 점이다. 현재, 다문화정책유치원의 유아 언어 교육은 통합 언어 교육과 개별 언어 교육으로 나뉘어 있고 개별 언어 교육은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파견된 언어발달지도사, 통합 언어 교육은 유치원교사가 담당하고 있다. 다문화 유아의 언어 배경의 다양화가 심화되는 추세에서 개별 언어 교육에 대한 관심과 지원의 증가가 필요한 시점이다. 셋째, 교사들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 콘텐츠의 개발이 장려되어야 하고 이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교사들은 현재 교육청에서 제공하는 기초자료를 한국어 교육에 이용하고 있지만 유치원 별로 다양한 주제와 교육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교육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이런 교육 연구 활동에 대하여 정책적 지원을 통하여 개발 동기를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이렇게 개발된 교육자료들을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서 교육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고 본다. 넷째, 교육자료나 프로그램 개발 시에 상호문화주의적 시각을 반영하여 만들 필요가 있다. 이는 개별 언어 교육에도 유용하고 피교육자가 좀 더 국제적으로 열린 시각을 갖추면서도 우리의 문화와 언어에 적응하는 글로벌한 미래자원으로 성장하는 데 보탬이 될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ents necessary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 experienced by teachers of multicultural policy kindergartens. For this, this study conducted th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with 13 teachers working for four multicultural policy kindergartens in Daejeon region. In the results, for the multicultural languag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verse backgrounds, the teachers felt the necessity of teachers’ training for more in-depth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young children. Currently, the languag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multicultural policy kindergartens is divided into integrated language education and individual language education. And the individual language education was provided by language development supporters assigned by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The teachers were providing the integrated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he basic data currently provided by the office of education, and each kindergarten utilized it for various themes and educational materials. This preparation means overtime. There should be the incentives for teachers working for policy kindergartens rather than general kindergartens. It would be necessary to create programs based on the interculturalism in case when operating the programs. The lesson materials utilized by each kindergarten should be shared through websites that could be referred by teachers, so the researches by teachers could bring about synergy effects. As such five-year old children should prepare for the entrance into elementary school, it would be necessary to educate the tool words for learning for their adaptation to elementary school.

참고문헌 (35)

  1. [보고서] 강남욱 / 2019 / (가칭)징검다리학교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2. [학술지] 고은 / 2010 /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교육지원 체계 구축을 위한 모형제안 / 교육의 이론과 실천 15 (2) : 1 ~ 24
  3. [기타] 교육과학기술부 / 2009 / 유아교육 선진화 방안 보도자료 / 교육과학기술부
  4. [단행본] 교육부 / 2018 / 다문화교육 중앙지원단 워크숍 / 국가평생교육진흥원
  5. [기타] 교육부 / 2019 / 2019 개정 누리과정 확정・발표 보도자료 / 교육부
  6. [기타] 교육부 / 2020 /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운영 가이드라인-유치원- / 교육부,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중앙다문화교육센터
  7. [학술지] 김민진 / 2018 / 만 5세 유아와 초등학교 1학년을 위한 학습 도구어 조사 연구 / 유아교육학논집 22 (1) : 369 ~ 388
  8. [학술지] 김민화 / 2008 / 다문화가정 취학 전 유아 한국어교육 지원을 위한 기초 연구 / 아동학회지 29 (2) : 155 ~ 179
  9. [학술지] 김수현 / 2018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어린이집 교사의 경험을 중심으로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2 (4) : 303 ~ 333
  10. [보고서] 김윤주 / 2014 /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이해와 원리 –다문화 시대 문식성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구성 방안
  11. [단행본] 김지영 / 2015 / 질적연구여행 / 북코리아
  12. [학술지] 나장함 / 2006 / 질적 연구의 다양한 타당성에 대한 비교 분석 연구 / 교육평가연구 19 (1) : 265 ~ 284
  13. [보고서] 대전광역시교육청[유초등교육과] / 2018 / 2018학년도 다문화교육 활성화계획
  14. [보고서] 문무경 / 2017 / 다문화유치원 운영실태 분석과 지원 방안 : 201 ~ 214
  15. [단행본] 박휴용 / 2012 / 비판적 다문화교육론 / 애담
  16. [학술지] 서정아 / 2011 / 유치원 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생각 / 한국교원교육연구 28 (2) : 1 ~ 20
  17. [단행본] 여성가족부 / 2013 / 5-8세 발달연령별 언어촉진활동집 / 한국건강가정진흥원
  18. [학술지] 연세희 / 2016 / 예비유아교사의 양성과정 경험: 유아교사 되어가기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 (2) : 35 ~ 60
  19. [학술지] 원진숙 / 2013 /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KSL 교육의 정체성 / 언어사실과 관점 31 : 23 ~ 58
  20. [학술지] 원진숙 / 2014 / 다문화 시대 우리 사회의 언어 소수자자녀를 위한 언어 교육 정책 / 우리말연구 (39) : 25 ~ 57
  21. [학술지] 유향선 / 2011 /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언어 지도 경험에 관한 고찰 / 유아교육학논집 15 (2) : 109 ~ 133
  22. [학술지] 윤재희 / 2008 / 한 걸음 더 나아가기- 영・유아 다문화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 / 다문화콘텐츠연구 : 79 ~ 106
  23. [학술지] 이명희 / 2017 / 다문화예비학교의 역할과 개선과제 - 한국어 강사의 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 교육문화연구 23 (4) : 409 ~ 432
  24. [학술지] 이해영 / 2014 /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교육 지원 현황과 한국어 교육 개선 방안 / 국어교육연구 (34) : 231 ~ 258
  25. [학술지] 장영은 / 2019 /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 관련 학술연구 동향 및 내용 분석 / 다문화와 평화 13 (3) : 40 ~ 63
  26. [학술지] 전은주 / 2008 / 다문화 사회와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목표 설정 방향 / 국어교육학연구 (33) : 629 ~ 656
  27. [학술지] 정경희 / 2015 /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촉진교육 효과에 대한 질적 연구 / 언어치료연구 24 (4) : 361 ~ 378
  28. [학술지] 최근애 / 2013 / 학습 한국어 교수-학습 방안 연구- 초등학교 사회과 역사 영역을 중심으로 - / 한국초등교육 24 (4) : 79 ~ 93
  29. [단행본] 한국건강가정진흥원 / 2015 / 읽기 쓰기 첫걸음 언어촉진활동 지침서 / 한국건강가정진흥원
  30. [학위논문] 현정희 / 2014 /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31. [단행본] 홍혜경 / 2016 / 영유아 언어교육 –이론과 실제- / 학지사
  32. [학술지] 황상심 / 2009 / 다문화가정아동의 5세 전 후 집단 간 언어발달특성 비교 연구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10 (3) : 265 ~ 281
  33. [학위논문] Barateau, Marielle / 2013 / 만4, 5세 다문화유아를 위한 ‘언어자각’프로그램 실험
  34. [학술지] Candelier, M. / 2008 / 다언어 교수법, 복수적 접근법: 같음과 다름 / Les cahiers de l’ACEDLE 5 (1)
  35. [단행본] Creswell, J. W. / 2010 / 질적 연구방법론 – 다섯 가지 접근 / 학지사

참고문헌 더보기
전체 논문 수 319 / 5 페이지
게시물 검색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