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의 새로운 가치와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제적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는 연구기관

총 권호 수
0 volumes
총 논문 수
0 articles
1970.01

키워드

독일통일, 연수경험, 통일 시민단체, 활동가, 현상학적 연구
German unification, training experience, unified civic groups, activists, phenomenological research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통일 30년, 독일 시민사회 경험을 넘어 한국 NPO역량 쌓기’라는 주제의 독일통일 연수에 참여한 활동가들의 경험과 연수 이후 활동 현장에서의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통일 시민단체의 연구는 정책적 제안이나 활동 영역에 대한 연구에 치중되어 있었고, 활동가의 경험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한국사회의 시민사회 성숙과 통일운동의 진일보를 위하여 진보-보수 영역에 속한 시민단체 활동가들이 함께 참여한 연수를 통하여 그들이 어떤 경험을 하였고, 그 의미의 본질이 무엇인지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연수에 참여한 전체 활동가들 중 절반에 해당하는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기반으로 네 가지 실존체(공간성, 시간성, 신체성, 관계성)에 입각하여 독일통일 연수 경험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2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네 가지 실존체에 따라 독일과 한국의 차이와 거리감, 분단의 시간은 통일 준비하는 기회, 임파워먼트, 네트워킹의 필요성이라는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경험의 의미가 가지는 현상학적 함의와 정책적, 학문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통일연수 기획에 대한 정책적 자료와 통일 시민단체 활동가들의 협력과 네트워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activists of unification civic groups who participated in the German unification training under the theme of '30 years of unification, building Korean NPO capabilities beyond German civil society experiences'. Until now, the research of unified civic groups has been focused on research on policy proposals and activities, and research on the experiences of activists is hard to find. For the maturity of the civil society in Korean society and the advancement of the unification movement, a study is needed to analyze what kind of experiences they had and what the essence of the meaning was through training in which civil society activists in the progressive-conservative domain participat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8 people, half of all activists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Based on van Manen's hermeneutical phenomenology research method, the meaning of the German unification training experience was analyzed based on four entities (spatiality, temporality, physicality, and relational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2 sub-themes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four entities, the difference and the sense of distance between Germany and Korea, and the time of division are the opportunity for unification preparation, empowerment, and the necessity of networking. The essential theme was derived. The phenomenological implications of these experiences, as well as policy and academic suggestions were presented.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future cooperation and network of unified civil society activists as well as policy data for future unification training plans.

참고문헌 (58)

  1. [학술지] 강진웅 / 2013 / 이산 속의 북한여성: 하위주체로서의 여성의 삶과 정체성의 정치 / 아세아연구 56 (2) : 269 ~ 302
  2. [학술지] 김윤나 / 2017 / 출신성분에 따른 탈북여성의 문화적응 기제에 관한 비교분석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18 (2) : 329 ~ 338
  3. [단행본] 박현선 / 2003 / 현대북한사회와 가족 / 한울아카데미
  4. [보고서] 국토통일원 / 1988 / 출장결과보고: 제5차 분단국문제 한독정부간협의회 및 제2차 서독파견연수
  5. [학술지] 권무혁 / 2011 / 평화통일과 민주시민의 역할 / 시민인문학 (20) : 105 ~ 143
  6. [학술지] 권오국 / 2014 / 시민사회단체 해외연수(체코,독일) ; 통일은 "재앙"이 아니라 "대박"으로 인식해야 / 통일한국 (361) : 40 ~ 41
  7. [학술지] 김가나 / 2016 / 독일통일 현장연수: 소통에 기반한 자정능력, 통일독일의 힘! / 통일한국 (395) : 26 ~ 29
  8. [단행본] 김동춘 / 1997 / 분단과 한국사회 / 역사비평사
  9. [학술지] 김병연 / 2020 / 서울지역 교사의 통일교육 연수에 관한 인식 연구 / 인문사회 21 11 (1) : 597 ~ 608
  10. [학술지] 김상남 / 2019 / 간호 학생의 해외 전공연수 경험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 (4) : 1131 ~ 1152
  11. [학술지] 김성한 / 2014 / 한반도 통일기반 조성을 위한 비정부기구(NGO)의 역할: 대북 지원 NGO와 북한 인권 NGO를 중심으로 / 국제관계연구 19 (1) : 143 ~ 174
  12. [학술지] 김성찬 / 2007 / 통일독일 현장연수: 과거청산을 통해 민주사회의 소중함 알게 한다 / 통일한국 (278) : 58 ~ 60
  13. [단행본] 김영순 / 2017 / 다문화 사회와 공존의 인문학 / 디비북스 : 디자인블룸
  14. [단행본] 김영순 / 2018 / 질적연구의 즐거움 / 창지사
  15. [단행본] 김영윤 / 2009 / 독일, 통일에서 통합으로 / 통일부
  16. [학위논문] 김영주 / 2010 / 한국 시민사회단체의 통일담론 연구
  17. [학술지] 김용기 / 2017 / 한국과 독일의 통일교육 비교분석을 통한 한국 교육에의 시사점 탐색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7 (4) : 147 ~ 156
  18. [단행본] 김학재 / 2018 / 판문점 정전체제를 넘어 동아시아 평화체제로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한국민주주의연구소
  19. [학술대회] 도희윤 / 2015 / 안보시민단체와 통일시민단체의 상생협력 방안 모색 - 통일시대를 여는 새로운 과제를 중심으로 / 한국보훈학회 학술대회지 (21) : 1 ~ 8
  20. [학술지] 문원희 / 2015 / 간호대학생의 전공 융합 프로그램을 통한 해외 단기연수 경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6 (2) : 1 ~ 11
  21. [보고서] 박상봉 / 2014 / 통일준비과정에서 시민단체 역할 연구-통일준비위원회 용역 연구과제
  22. [학술지] 박소진 / 2010 / 한국 사회 문화 재인식과 세계 속 자기 정체성 찾기―대학생 단기 해외연수 동기와 경험 /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18 (1) : 217 ~ 262
  23. [학술지] 박지혜 / 2014 / NGO 활동가의 대북 인도적 지원 경험의 본질과 의미 : 눈 감을 줄 모르는 마음으로 ‘경계, 그 너머를 향해’ / 사회과학연구논총 1 (30) : 127 ~ 149
  24. [학술지] 박호성 / 2002 / 시민참여와 국민복지 확대로 민족통일을 / 기억과 전망 (1) : 12 ~ 16
  25. [단행본] 백낙청 / 2006 / 한반도식 통일, 현재진행형 / 창비
  26. [학술지] 서유석 / 2019 / 남북교류와 시민사회 / 통일인문학 78 : 235 ~ 253
  27. [학술지] 석재왕 / 2005 / 통일독일 현장연수: 독일의 구동독지역 환경오염 개선정책 환경정책이 사회, 문화적 통합에도 기여 / 통일한국 (261) : 63 ~ 65
  28. [학술지] 선수현 / 2015 / 통일독일 현장연수: 나는 하루에도 수십 번 동서독을 오갔다 / 통일한국 (373) : 40 ~ 43
  29. [단행본] 손기웅 / 2010 / 독일통일 20년 : 현황과 교훈 / 통일부
  30. [단행본] 손기웅 / 2010 / 접경지역의 평화지대 조성을 통한 남북교류 활성화 방안(Ⅳ) / 통일연구원
  31. [단행본] 손선홍 / 2016 / 독일통일 한국통일 / 푸른길
  32. [학술지] 안득기 / 2007 / 남북한 교류 및 협력과정에서 NGO의 역할평가:대학생 인식을 중심으로 / 21세기정치학회보 17 (2) : 87 ~ 119
  33. [학술지] 오경섭 / 2014 / 시민사회단체 해외연수(체코,독일) ; 공공부문과 시민사회단체 간 거버넌스모델 체험 / 통일한국 (361) : 36 ~ 37
  34. [학술지] 오기성 / 2006 / 초등 교원 통일교육 직무연수의 분석 연구 / 한국교원교육연구 23 (2) : 189 ~ 208
  35. [학술지] 오기평 / 2001 / 평화통일과 시민단체의 역할 / 동아시아연구논총 (12) : 259 ~ 263
  36. [학술지] 우경식 / 2005 / 통일독일 현장연수 ; 통일독일과 체코간 지역협력 협력프로젝트 통해 통일후유증 극복에 일조 / 통일한국 (261) : 57 ~ 59
  37. [학술지] 유영희 / 2004 / 초등 과학실험연수 참여교사의 연수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교육이론과 실천 13 (3) : 111 ~ 128
  38. [학술대회] 이남주 / 2008 / 시민참여형 통일운동의 역할과 가능성 / 2008 세교연구소 심포지엄
  39. [학술지] 이봉기 / 2019 / 통일독일 현장연수: 분단이 할퀸 상흔의 자리에 상생과 협력이 피어나고 있었다 / 통일한국 (421) : 58 ~ 61
  40. [학술지] 이인정 / 2013 / 남북통일과 시민성 - 세대갈등 통합과 교육적 과제 / 도덕윤리과교육 41 (41) : 157 ~ 186
  41. [학술지] 이정희 / 2002 / 통일관련 사회단체의 이념적 차별성 연구: 남북관계와 대북정책의 인식을 중심으로 / 국제정치논총 42 (4) : 117 ~ 149
  42. [학위논문] 정민주 / 2014 / 교사들의 해외 연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네 교사의 북유럽교육탐방이야기를 중심으로
  43. [학술지] 정현숙 / 2017 / 한국간호대학생의 미국간호대학 단기 연수경험 / 질적연구 18 (2) : 145 ~ 159
  44. [학술대회] 조대엽 / 2008 / 한반도 평화 통일운동과 시민적 정체성 / 이화여대 통일학연구원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평화나눔센터 공동주최 학술 토론회 자료집: 남북관계에서의 시민사회역할과 진로모색 : 57 ~ 73
  45. [학술지] 조대엽 / 2010 / 한반도 평화통일운동과 시민적 정체성 / 사회과학연구 49 (1) : 159 ~ 184
  46. [학술지] 조정규 / 2006 / 통일과 시민단체의 역할 / 동북아연구 11 : 61 ~ 74
  47. [보고서] 통일부 / 2017 / 시민참여형 ‘통일국민협약’ 실행방안 연구
  48. [단행본] 평화문제연구소 / 2020 / 통일 30년, 독일 시민사회 경험을 넘어 한국 NPO 역량 쌓기 / 평화문제연구소
  49. [학술지] 홍진석 / 2009 / 통일 독일 현장연수를 다녀와서 ; 독일 통일은 40년간의 분단 극복 노력 산물 / 통일한국 (301) : 70 ~ 73
  50. [학술지] 황선영 / 2015 / 간호학생을 위한 국제보건역량강화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6 (3) : 209 ~ 220
  51. [학술지] Chocce, J. / 2015 / Predictive factors of freshmen's intercultural sensitivity /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and Education Technology 5 (10) : 778 ~ 782
  52. [단행본] Barnes, John A. / 1979 / Perspectives on Social Network Research / Academic Press
  53. [단행본] Kinginger, C. / 2009 / Language learning and study abroad: A critical reading of research / Palgrave Macmillan
  54. [단행본] Polkinghorn, D. E. / 1989 / Existential-phenomenological in psychology / Plenum : 233 ~ 244
  55. [단행본] van Manen, M. / 1990 / Researching the lived experience /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56. [인터넷자료] / 통일부 법인현황
  57. [인터넷자료] / 행정안전부 비영리민간단체 등록현황
  58. [인터넷자료] / 통일부 통일연구DB 독일통일 아카이브

참고문헌 더보기
전체 논문 수 319 / 5 페이지
게시물 검색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