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의 새로운 가치와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제적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는 연구기관

총 권호 수
0 volumes
총 논문 수
0 articles
1970.01

키워드

조선족학교, 조선족 교육, 합의적 질적 연구, 조선족 교육의 발전 방향
Korean-Chinese School, Korean-Chinese Education,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Future Direction of Korean-Chinese Education

초록

중국 조선족 교육은 조선족 학령인구의 감소, 인구이동, 조선족 3세의 다양한 진로선택 등 변화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였다. 기존 조선족 교육에 관한 연구들은 조선족 교육 종사자 및 교육학계 전문가가 시행한 문헌연구들이 주를 이루었지만, 조선족학교 경험자를 대상으로 하는 질적 연구는 부족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조선족학교를 나온 뒤 현재 대학원을 다니거나 직장생활을 하는 석사 이상 재한 조선족을 인터뷰하여 그들이 느끼는 조선족 교육이 자신의 현재의 삶에 미친 영향 및 조선족 교육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알아보았다. 합의적 질적 연구(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방법을 통해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조선족학교의 필요성’, ‘조선족학교의 장단점’, 그리고 ‘조선족 교육의 향후 발전방향’ 의 세 가지 영역과 각 하위 범주들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의 의미 및 조선족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orean-Chinese Education encountered new challenges in the circumstance of changing social environment, such as a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migration, and various career choices among Korean-Chinese. Previous studies on the topic of Korean-Chinese educational issues were mainly literature studies conducted by practitioners or professors in this field, but qualitative studies on the graduates who experienced Korean-Chinese education are insuffici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impact of their experiences in Korean-Chinese school on their current life and perception of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n-Chinese eduction. For the purpose, the researchers of this study interviewed 8 graduates of Korean-Chinese school who currently studying at graduate school or working in Korea. The collected qualitative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approach. As the results, three domains including ‘Necessity of Korean-Chinese Education’, ‘Pros and Cons of the Korean-Chinese Educ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Korean-Chinese Education’ were extracted. Last,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for Korean-Chinese education were discussed.

참고문헌 (22)

  1. [학술지] 김동규 / 2014 / 현시기 흑룡강성조선족교육이 직면한 문제 및 대책 / 중국조선어문 (6) : 5 ~ 10
  2. [학술지] 김충시 / 2014 / 상해지역 조선족이주민자녀들 계승어교육 현황 / 중국조선어문 (5) : 5 ~ 10
  3. [학술지] 김해영 / 2014 / 연변조선족사회와 민족교육의 관계에 대한 고찰 / 교육사상연구 28 (1) : 97 ~ 119
  4. [학술지] 김해영 / 2017 / 이동과 교육 - 조선족교육의 세기적 발전맥락과 향후 과제 / 한국민족문화 (65) : 27 ~ 62
  5. [학술지] 김해영 / 2018 / 교육 생태적 시각에서 본 동북삼성 조선족교육의 현황과 과제 / 한국민족문화 (69) : 379 ~ 434
  6. [학술대회] 김홍매 / 2009 / 중국 조선족학교의 글로벌 교육의 실태와 가능성 연구 /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내학술회의 : 253 ~ 271
  7. [보고서] 동북아평화연대 / 2011 / 중국 동북3성 재외동포 교육교류 실태 및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 중간보고서
  8. [단행본] 동북조선민족교육과학연구소 / 1998 / 중국조선족학교지 / 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9. [학술대회] 리성일 / 2018 / 중국 동북삼성 조선족학교 교육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대한 사고 / 전남대학교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내학술회의 : 1 ~ 17
  10. [학술지] 문형진 / 2013 / 중국인 유학생(한족-조선족)의 한국문화 수용실태 비교연구 / 중국학논총 (39) : 155 ~ 176
  11. [학술지] 박경용 / 2015 / 중국 칭다오(靑島) 조선족의 정착 애로와 딜레마 - 자영업자들에 대한 구술 자료를 중심으로 / 로컬리티 인문학 (13) : 211 ~ 262
  12. [학술지] 박금해 / 2019 / 세계화시대 중국 조선족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위한 이론적 탐색 / 한국학연구 (55) : 123 ~ 145
  13. [학술대회] 선봉규 / 2018 / 조선어 교사를 통해서 본 조선족의 언어사용과 조선족학교의 발전 과제 /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 286 ~ 296
  14. [학술지] 성춘향 / 2017 / 중국 조선족 중학생의 자아정체성과 사회정체성의 관계 : 조선족학교 및 한족학교 소속 조선족 학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 열린교육연구 25 (1) : 213 ~ 236
  15. [학술지] 이길남 / 2010 / 연변조선족 인구감소와 민족교육의 위축 위기 /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 157 ~ 172
  16. [학술지] 정미량 / 2010 / 중국 조선족 민족교육, 그 지속과 변화 -길림성 장춘시 관성구 조선족 소학교(1945-2009)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사학 32 (1) : 127 ~ 158
  17. [학술지] 정신철 / 2006 / 중국 조선족문화와 교육발전의 현황 및 대책 / 백산학보 : 403 ~ 438
  18. [학술지] 조귀화 / 2009 / 세계화 시대의 소수민족교육의 변화 - 중국 조선족학교의 이중 언어교육을 중심으로 - / 교육인류학연구 12 (2) : 171 ~ 195
  19. [학술지] 최미화 / 2018 / 재중동포 이중 언어 교육의 실제와 개선 방안 -연변조선족자치주를 중심으로 / 이중언어학 (71) : 289 ~ 310
  20. [학술지] 최우길 / 2012 / 중국 조선족 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과의 교육 교류를 중심으로 / 디아스포라연구 6 (1) : 83 ~ 102
  21. [학술지] 최운선 / 2020 / 재한 고학력 조선족의 자녀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 한국가족복지학 25 (1) : 89 ~ 116
  22. [단행본] 주은선 / 2016 / 합의적 질적 연구 -사회과학 현상 탐구의 실질적 접근- / 학지사

참고문헌 더보기
전체 논문 수 319 / 5 페이지
게시물 검색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