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의 새로운 가치와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제적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는 연구기관

총 권호 수
0 volumes
총 논문 수
0 articles
1970.01

키워드

탈북청소년, 북한이탈주민, 교육지원, 대안학교, 통일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North Korean refugees, educational support, alternative schools, unification

초록

현재 탈북청소년은 ①북한출생 탈북청소년, ②제3국출생 탈북청소년, ③남한출생 탈북청소년, ④무연고 탈북청소년 등 네 부류로 구분되며 정부 부처에서는 통일부의 남북하나재단(북한이탈주민재단)과 교육부 산하의 탈북청소년교육지원센터 그리고 여성가족부의 무지개청소년센터가 이들의 교육지원과 정착지원을 맡고 있다. 그 밖에도 여러 민간단체가 탈북청소년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전체적이고 종합적인 지원체계가 없고 각 기관과 지원단체 간 역할 분담이나 조정이 미흡하며 이에 따른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다. 전체 탈북민 입국자 중 24세 미만의 탈북청소년은 20% 정도를 차지한다. 한국에 입국하여 정착하고 있는 탈북청소년은 이질적 교육제도, 학업 공백의 기간, 어려운 가족 환경, 정서적・심리적 불안 등으로 한국의 일반학생들과 비교하여 학업 수준 편차는 매우 크고 학교 교육 적응뿐만 아니라 정체성의 혼란과 언어와 사회문화적인 부분에 이르기까지 부적응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국에서 탈북민과 그 자녀의 사회적응과 삶은 분단국가의 구성원 모두가 함께 한반도 통일시대를 연습해보는 ‘미리 온 통일’과정이자 남북통합의 바로미터이며 통일국가에서 남북한 출신의 국민이 함께 상생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시금석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한반도의 미래와 통일의 관점에서 탈북청소년이 향후 남북통합과정에서 중요한 인적자원으로, 통일국가의 주역으로서 역할을 감당할 수 있을지는 우리의 관심과 배려에 달려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are currently divided into ①those born in North Korea ②in the third country , ③in South Korea, ④ without relations, and several governmental departments such as Korea Hana Foundation(North Korean Refugees Foundation) under the Ministry of Unification, Educational Support Center for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Rainbow Youth Center under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re responsible for the educational and settlement support for them. Although many other private groups have implemented support projects for them, there have been not any entire and comprehensive support systems and the roles of each agency and support group are not clearly divided or coordinated, so some blind spots occur. There is substantial academic achievement gap between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who were admitted to and subsequently settled down in South Korea and normal South Korean students, since the former usually face the heterogeneous educational system, academic break, disadvantaged family environment and emotional/psychological anxiety. They also seem to suffer from identity crises and serious maladaptation to not only school education, but also language and society.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younger than 24 years old account for about 20% of the whole North Korean defectors. The social adaption and life of both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ir children in South Korea are the 'Unification in Advance' process in which all members in the divided country can practice the unification era of the Korean peninsula and may be barometers for the unification of North-South Korea and standards for judging whether people from both countries can achieve co-prosperity. In particular,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whether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can serve as important human resources in the process of South-North Korean unification and play roles as leading actors in the unified country depends on our attention to and care for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oran peninsula's future and unification.

참고문헌 (36)

  1. 홈권호 목록논문 목록논문 상세
  2. 탈북청소년의 사회적응과 효과적 지원방안 모색
  3. 다문화와 평화
  4. 약어 : -
  5. 2020, vol.14, no.3, pp.1 - 24
  6. DOI : 10.22446/mnpisk.2020.14.3.001
  7. 발행기관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8. 연구분야 : 학제간연구
  9. Copyright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10. 주승현1
  11. 1고신대학교
  12. Korea Citation Index
  13. 인용한 논문 수 : 2 서지 간략 보기
  14. 초록
  15. 현재 탈북청소년은 ①북한출생 탈북청소년, ②제3국출생 탈북청소년, ③남한출생 탈북청소년, ④무연고 탈북청소년 등 네 부류로 구분되며 정부 부처에서는 통일부의 남북하나재단(북한이탈주민재단)과 교육부 산하의 탈북청소년교육지원센터 그리고 여성가족부의 무지개청소년센터가 이들의 교육지원과 정착지원을 맡고 있다. 그 밖에도 여러 민간단체가 탈북청소년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전체적이고 종합적인 지원체계가 없고 각 기관과 지원단체 간 역할 분담이나 조정이 미흡하며 이에 따른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다. 전체 탈북민 입국자 중 24세 미만의 탈북청소년은 20% 정도를 차지한다. 한국에 입국하여 정착하고 있는 탈북청소년은 이질적 교육제도, 학업 공백의 기간, 어려운 가족 환경, 정서적・심리적 불안 등으로 한국의 일반학생들과 비교하여 학업 수준 편차는 매우 크고 학교 교육 적응뿐만 아니라 정체성의 혼란과 언어와 사회문화적인 부분에 이르기까지 부적응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국에서 탈북민과 그 자녀의 사회적응과 삶은 분단국가의 구성원 모두가 함께 한반도 통일시대를 연습해보는 ‘미리 온 통일’과정이자 남북통합의 바로미터이며 통일국가에서 남북한 출신의 국민이 함께 상생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시금석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한반도의 미래와 통일의 관점에서 탈북청소년이 향후 남북통합과정에서 중요한 인적자원으로, 통일국가의 주역으로서 역할을 감당할 수 있을지는 우리의 관심과 배려에 달려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16. 키워드
  17. 탈북청소년, 북한이탈주민, 교육지원, 대안학교, 통일
  18. 참고문헌(18)close
  19. [학술지] 강용원 / 2010 / 한국 사회 내 북한이탈주민의 삶 -기독교교육적 접근- / 기독교교육 논총 (24) : 459 ~ 490
  20. [단행본] 민성길 / 2004 / 통일이 되면 우리는 함께 어울려 잘 살 수 있을까 / 연세대학교 출판부
  21. [학술지] 양승준 / 2017 / 청소년을 위한 세례교육의 갱신 모델 연구 / 기독교교육 논총 (50) : 117 ~ 154
  22. [학술지] 이기영 / 2015 / 한국거주 탈북배경청소년의 다양성에 따른 지원정책의 분석과 함의 / 동북아연구 30 (2) : 93 ~ 129
  23. [학술지] 유은희 / 2012 / 북한의 상황을 고려한 신학교육 커리큘럼과 교수-학습방법에 대한고찰-탈북민 신학생들의 한국 신학교에서의 학습경험을 바탕으로- / 기독교교육 논총 (32) : 1 ~ 36
  24. [단행본] 전우택 / 2000 / 사람의 통일을 위하여 / 오름
  25. [단행본] 전태국 / 2013 / 사회통합과 한국 통일의 길 –내적 장벽을 넘어서 / 한울
  26. [단행본] 주승현 / 2018 / 조난자들 / 생각의힘
  27. [학술지] 주승현 / 2017 / 북한인권 문제와 통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기독교교육 논총 (50) : 261 ~ 290
  28. [단행본] 통일부 통일교육원 / 2020 / 2020 통일문제 이해 / 통일교육원
  29. [단행본] 통일부 통일교육원 / 2020 / 2020 북한 이해 / 통일교육원
  30. [단행본] 통일부 / 2019 / 통일백서 / 통일부
  31. [단행본] 통일부 / 2020 / 통일백서 / 통일부
  32. [인터넷자료] / 통일부 홈페이지
  33. [인터넷자료] / 하나재단 홈페이지
  34. [인터넷자료] / 무지개청소년센터 홈페이지
  35. [인터넷자료] / 탈북청소년교육지원센터
  36. [인터넷자료] 파이낸셜뉴스 / 탈북민 30명 ‘재월북’.. 700명은 외국서 안돌아와

참고문헌 더보기
전체 논문 수 319 / 5 페이지
게시물 검색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