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의 새로운 가치와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제적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는 연구기관

저널명
다문화와 평화(Multiculture & Peace)
등재사항
KCI등재
수록권호
제17권 3호 (통권 40호)
발행일
2023.12
수록논문
11 articles
유형
학술저널
주제
복합학
발행기간
2023.12 ~ 2024.04
발행주기
연 3회
총 권호 수
2 volumes
총 논문 수
19 articles

키워드

결혼이주여성, 자아존중감, 문화적응스트레스, 가정생활스트레스, 거주기간
Marriage Migrant Women, Self-Esteem, Cultural Adaptation Stress, Home Life Stress, Residence Period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아동을 양육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의 안정적인 정착과 정서적・심리적 안정을 도모하고자 거주기간에 따른 문화적응・가정생활 스트레스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출신국가, 주요 소득원, 직업 유무, 거주하는 도시규모에 따라 자아존중감, 문화적응스트레스, 가정생활스트레스, 거주기간에 차이가 있는지 집단 간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거주기간, 문화적응스트레스, 가정생활스트레스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셋째, 거주기간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 미치는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가정생활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출신국가, 주요 소득원과 같은 개인의 특성에 따라 자아존중감, 문화적응스트레스, 가정생활스트레스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거주기간이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가정생활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확인했다. 셋째,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자아존중감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거주기간은 문화적응스트레스를 완전매개로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문화적응스트레스, 가정생활스트레스 완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investigated on support measures for the self-esteem of marriage migrant women. Firstly, it examined differences among groups to identify variations in self-esteem, cultural adaptation stress, home life stress, and length of residence based on marriage migrant women’s country of origin, primary sources of income, employment status, and city size. Secondly, it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residence period, cultural adaptation stress, home life stress, and the self-esteem of marriage migrant women. Lastly, it explored the mediating role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home life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ce period and self-esteem.
The analysis revealed several significant findings. Firstly, variations in self-esteem, cultural adaptation stress, home life stress, and residence period were observed among marriage migrant women with divers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ly,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residence period and both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home life stress. Thirdly, cultural adaptation stress had a negative impact on self-esteem. Lastly, the hypothesis suggesting that the residence period affects self-esteem through partial mediation by cultural adaptation stress received suppor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measures to alleviate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home life stress, aiming to enhance the self-esteem of marriage migrant women.

참고문헌 (47)

  1. 고은미・이수라・장미영・소강춘. (2008).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위한 효과적인 한국어 지원 정책 방안 연구: 전북지역 기관별 여성결혼 이민자 지원 프로그램 분석을 중심으로, 「국어문학」, 44: 111-138.
  2. 공지유, 외국인 10명 중 8명 ‘한국생활 만족’…20%는 “차별 경험”, 「이데일리」, 2023.09.06.
  3. 권구영・박근우. (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라남도 거주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사회연구」, 8(2): 187-219.
  4. 김광일. (1991). 해외동포의 문화적응과 정신건강, 「한양대 정신건강연구」, 18: 119-153.
  5. 김금미. (2010). 대학생이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다문화 수용적 행동: 계획된 행동이론의 수정모형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2): 259-283.
  6. 김기홍・허태영・황명진. (2011).결혼이주여성의 성공적 정착과 농촌의 지속가능한 다문화사회 구축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7. 김남재. (1987). 적응과 정신건강.「덕성대학교 교수논단」, 209-217.
  8. 김민길・김영직・조민효. (2016). 결혼이주여성들의 출신 국적별 임금 차별에 관한 연구: 옥사카 (Oaxaca) 분해방법론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25(4): 65-106.
  9. 김병숙・안윤정・송혜령. (2010). 결혼이주여성의 직업적응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2): 235-258.
  10. 김복태・이승현. (2015). 결혼 이민자 취업 역량 강화 를 위한 실행 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1. 김소희・노윤구. (2018).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녀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배우자 지지의 영향,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4(2): 174~184.
  12. 김순남. (2014). 이주여성들의 결혼, 이혼의 과정을 통해서 본 삶의 불확실성과 생애지도의 재구성, 「한국여성학」, 30(4): 189-231.
  13. 김순양・고수정・강준혁. (2016). 결혼이주여성 사회적 배제의 도농 (都農) 간 차이 분석 및 정책적 처방: 베트남출신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30(3): 77-112.
  14. 김연수. (2013).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영향요인 연구: 서울・경기 및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3(4), 5-38.
  15. 김연희・이교일. (2017). 초국적 삶의 주체로서 결혼이주여성의 전환경험과 미디어 행위자네트워크의 역할: 중국출신여성을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 56(1): 107-153.
  16. 김영옥・한재희. (2014). 결혼이주여성들의 결혼생활에서 나타나는 불안 경험에 대한 연구,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5(6): 2581-2602.
  17. 김유정. (2021). 결혼이주여성 체류안정을 위한 법제개선 방안, 「강원법학」, 63: 35-85.
  18. 김지혜. (2015).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소비경제생활문화 교육 방안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19. 김진희・박옥임. (2008). 농촌과 도시지역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가족갈등과 생활만족도 비교: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농촌사회」, 18(1): 127-160.
  20. 김평화. (2019).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 발달궤적에 미치는 영향」. 국내박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21. 김하영・아영아. (2022).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이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및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다문화교육연구, 15(3), 51-72.
  22. 노충래・강현주・최민지. (2010). 베트남 여성과 국제 결혼한 한국 남성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0, 105-134.
  23. 박민정・육수현・장흔성・김민경. (2021). 언택트시대 지방자치단체 정주형 여성이민자 활용방안, 「이민정책연구원 기초연구보고서」, 1-122.
  24. 박신규. (2008).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정체성 및 주체성의 사회적 위치성에 따른 변화: 구미 지역의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생애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4(1): 40-53.
  25. 박은희・조인주. (2012).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8(2): 29-54.
  26. 박지나. (2023). 아시아계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과 부모효능감 간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양육활동의 구조관계연구, 「아시아여성연구」, 62(2): 51-100.
  27. 배경희. (2013).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참여가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41(9): 33-54.
  28. 백승희. (2020). 충남 결혼이주여성들의 문화다양성 구현 수준에 따른 유형별 특성, 「여성연구」, 143-166.
  29. 신의진・이호영・이만홍. (1994). 중국 연변자치주 조선족의 문화이입정도에 따른 정신건강 비교. 「신경정신의학」, 33(3): 589-598.
  30. 안진・채영길. (2015). 공동체 미디어 실천과 다문화 정체성의 재구성: 결혼이주여성의 공동체 라디오 참여활동과 권능화. 「한국방송학보」, 29(6): 94-136.
  31. 양순미. (2006). 농촌 국제결혼부부의 적응 및 생활실태에 대한 비교 분석. 「농촌사회」, 16(2): 151-179.
  32. 윤정훈, 9년새 외국인 학생 8.6배 증가… 이주배경 학생들, 이제 학교 ‘밖’에서 한국어 공부, 「매일신문」, 2023.09.26.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8/000083804 0?sid=102
  33. 이규환. (2012). 다문화와 이주노동: 한국과 러시아의 비교, 「동북아 문화연구」, 31: 581-599.
  34. 이지연・김문희・한수진・장진이. (2013). 성공적인 다문화 가정 학부모 상담을 위한 필요 요인에 대한 개념도.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0(1): 1-18.
  35. 이지현・진수진・주현정・조연실. (2013).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 자아존중감,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부부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4(1): 87-98.
  36. 이현녕. (2022). 「다문화 가정 모(母)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대학원.
  37. 장주영・이지연・김영선. (2021). 무급가족사업종사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 사회적 관계의 영향에 대한 도시・농어촌 비교, 「아시아여성연구」, 60(3): 173-212.
  38. 전혜정・백주희. (2019).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령범주별 비교분석 연구, 「가족과 문화」, 31(4): 122-148.
  39. 최훈석・양애경・이선주. (2008). 여성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지역사회 수용성: 안산과 영암의 지역주민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4(4): 39-69.
  40. 홍상우・김동욱・김화연. (2023), 청년의 정치효능감이 사회신뢰와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회공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행정」, 33(1): 1-32.
  41. Kruskal, W. H., and Wallis, W. A. (1952). Use of ranks in one-criterion variance 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47, 583–621.
  42. Redfield, R., Linton, R., & Herskovits, M. (1936).Insanity, Memorandum on the study ofacculturation. American Anthropologist, 49, 701-708.
  43.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1&tblId=DT_1B040A16(2023.09.30.)
  44.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568278?sid=101
  45.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5063(2023.09.30.)
  46. https://www.hello-europe.eu/(2023.09.30.)
  47. https://rosanjose.iom.int/en(2023.09.30.)

참고문헌 더보기
전체 논문 수 319
게시물 검색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