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의 새로운 가치와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제적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는 연구기관

저널명
다문화와 평화(Multiculture & Peace)
등재사항
KCI등재
수록권호
제18권 1호 (통권 41호)
발행일
2024.04
수록논문
8 articles
유형
학술저널
주제
복합학
발행기간
2023.12 ~ 2024.04
발행주기
연 3회
총 권호 수
2 volumes
총 논문 수
19 articles

키워드

온라인 재교육 프로그램, 비원어민 교원, 한국어 교육, 동영상-실시간 혼합 연수 프로 그램 설계
Online Re-Education Programs, Non-native Instructors, Korean Language Education, Video and Real-Time Blended Programs

초록

이 연구는 신북방 지역과 인도-아세안 지역에서 활동 중인 해외 대학 비원어민 교원을 대상으
로 한 온라인 재교육 프로그램의 결과를 분석하여, 향후 비원어민 교원을 대상으로 한 재교육 프
로그램의 설계와 운영의 실마리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원들의 의견을 분석한 결과, 동영상 강의는 ‘내용의 전문성’, 실시간 세미
나는 ‘교수진의 전문성’이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재교육 프로그램 참여의 방해 요
소로, 동영상 강의는 ‘네트워크 문제’, 실시간 세미나는 ‘시간 부족’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프
로그램 운영 시 해외 대학의 인터넷 환경과 시간 제약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
다. 둘째, 프로그램에 대한 연령별 의견을 조사한 결과, 동영상은 20대와 30대에서, 실시간 세
미나는 40대, 30대로 참여 충실도가 나타났다. 재충전과 정보 획득에 도움을 받았다는 응답은
20대, 30대 순서로 나타났으나 교육 능력 향상에 대한 평가는 40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프로그램에 대한 추천 의도를 조사한 결과, 40대와 30대의 응답이 가장 높았는데, 재교육
프로그램이 특히 이 연령층에게 유용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넷째, 한국어 수준별로 강의 수강
충실도를 살펴본 결과, 동영상 강의는 ‘유창’과 ‘초급’ 수준에서 가장 높았으며, 실시간 강의는
‘초급’, ‘고급’이 높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초급’이 충실하게 참여하여, 향후 연수 진행 시 참여
자의 한국어 수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보여 주었다.

This study analyzed online re-education programs aimed at non-native university
instructors teaching in the New northern and Indo-ASEAN regions, with the intention
of providing insights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uture re-education
programs for non-native instructors. The summarized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participant feedback analysis revealed that video lectures were appreciated for their
content expertise, while live seminars were valued for the expertise of the instructors.
However, network issues affected video lectures, and time constraints hindered full
participation in live seminar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internet
connectivity and scheduling constraints during program implementation. Secondly,
age-specific feedback indicated higher participation and perceived benefits in terms
of rejuvenation and knowledge acquisition among participant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with the assessment of educational improvement being highest among those
in their forties. Thirdly, intentions to recommend the program were highest among
respondents in their forties and thirties, suggesting that the analyzed program may be
particularly beneficial for these age groups. Fourthly, examination of attendance rates
by Korean proficiency level showed the highest engagement among beginners,
underscoring the need to consider participants' Korean proficiency levels during
program design.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an online re-education program
on enhancing the educational capabilities of non-native university instructors.
However, the limited number of participants underscores the necessity for future
research involving a larger sample size. Additionally, challenges with live lectures and
the need for program designs catering to intermediate-level instructors were
highlight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nclude the small sample size and insufficient
discussion on program design for intermediate-level instructors. Nonetheless, this
research can serve as valuable reference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re-education programs targeting non-native instructors.

참고문헌 (21)

  1. 김지형(2022). 「22021 신북방 지역 대학 한국어 교원 재교육 프로그램 결과 보고서」. 제주: 한
  2. 국국제교류재단. 김지형(2023). 「2022 아세안 및 인도지역 한국어 교원 재교육 프로그램 결과 보고서」. 제주:
  3. 한국국제교류재단. 국어기본법(일부개정 2022. 1. 18, 법률 제18761호).
  4. 국어기본법 시행령(일부개정 2021. 12. 14, 대통령령 제32207호).
  5. 박수연(2022). 「비원어민 한국어 교원의 수업 곤란 요인 연구: 중국 대학의 한국어 교원을 중심
  6. 으로」. 석사학위논문, 호서대학교 대학원. 버히도바 무루밧(2024). 「우즈베키스탄 한국어 비원어민 교사 요구 분석 연구: 재교육 프로그
  7. 램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손상미・정연희・조영미・김영랑・이정민(2023). 베트남 세종학당 비원어민 교원의 한국어 수업
  8. 및 인식 연구-세종학당재단 비원어민 교원 연수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92: 225–259.
  9. 안정임(2023). 디지털 네이티브 집단 내의 디지털 격차: 영향요인의 탐색과 제언, 「한국소통학
  10. 보」, 22(2): 37-68.
  11. 이민우(2022). 온라인 한국어교육에 대한 태도, 기대, 인식 연구 -온라인 세종학당 교원과 학습
  12. 자 비교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87: 49-71.
  13. 이은경・박수연・윤경원・박진철(2020). 해외 비원어민 화자 대상 온라인 한국어교육실습 사례
  14. 연구 - 베트남 거점 세종학당 한국어교원양성 사례를 중심으로. 「언어사실과 관점」, 51: 195-228.
  15. 전설(2016).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를 위한 재교육과정 개발 연구: 중국인 한국어 교사를 중심
  16. 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하라・윤여탁(2020). 한국어교육 전공 외국인 대학원생의 학습경험과 직업적 정체성에 관한
  17. 연구. 「언어와 문화」, 16(3): 313-345
  18. 최윤곤(2010) 비원어민 한국어 교원의 현황과 역할 -중국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외국어로
  19. 서의한국어교육」, 35: 187-206.
  20. 황재연・최명숙(2006). 교원 원격연수에서 학습자 배경변인과 온라인 학습전략에 따른 학업성
  21. 취도 및 교육만족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2(2): 255-274.

참고문헌 더보기
전체 논문 수 319
게시물 검색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