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의 새로운 가치와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제적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는 연구기관

저널명
다문화와 평화(Multiculture & Peace)
등재사항
KCI등재
수록권호
제17권 3호 (통권 40호)
발행일
2023.12
수록논문
11 articles
유형
학술저널
주제
복합학
발행기간
2023.12 ~ 2024.04
발행주기
연 3회
총 권호 수
2 volumes
총 논문 수
19 articles

키워드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하마스, 시오니즘, 가자 지구
Israel, Palestine, Hamas, Zionism, Gaza Strip

초록

이 논문은 2023년 발발한 이스라엘과 하마스 전쟁의 원인을 살펴보았다. 2023년 전쟁의 당사자는 이스라엘과 하마스이지만,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은 수 천년간 축적되어온 인류의 범죄와 기만의 총체적 결과물이다. 결코 이스라엘과 하마스 만의 문제가 아니다. 오랜 역사 속에서 어떤 민족이나 종족이던 때로는 피해자가 되고 때로는 가해자가 된다. 오늘날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은 서로 적대시하고 끊임없이 싸운다. 그러나 이스라엘인과 팔레스타인인은 (여호와와 알라로) 명칭은 다르지만 같은 신을 섬기며, 아브라함(코란에서는 이브라힘)이라는 공통의 조상을 가진다. 유대인(당시 히브리인)은 고대에 이집트에서는 노예로 생활한 피해자였던 반면, 이집트를 벗어나 그들이 도착한 가나안 사람들에게는 침략자였다. 대표적인 전투가 예리코 전투였다. 성경에 묘사된 그대로를 따르면 히브리인들은 평화롭게 살고 있는 예리코(Jericho)에 쳐들어가서 노약자와 어린아이까지 모두 죽였다. 더구나 유대인, 가나안인, 아랍인은 모두 셈족에 속한다. 2023년 10월 7일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에 전쟁이 발발했다. 직접적인 원인은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의 습격이었다. 하마스는 이스라엘 민간인을 학살하고 인질을 납치했다. 변명의 여지가 없는 반인권적 행위이고 범죄이다. 그런데 같은 날 하버드대학교의 하버드 팔레스타인 연대 그룹은 이스라엘을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더구나 여기에는 35개의 단체가 서명을 했다. 하마스의 민간인 학살과 납치를 생각하면 쉽게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이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악연 이외에 다른 많은 부분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이 논문은 첫째 이슬람, 아랍, 중동을 비교했다. 이슬람, 아랍, 중동은 공통분모가 있고 혼용되기도 하는 개념이지만, 서로 다른 개념이고 명확한 구분이 필요하다. 이슬람교 내에서 수니파와 시아파의 갈등은 이슬람교와 기독교의 갈등 못지 않다. 이슬람교 내에서 대립되는 종파간의 정권교체는 서구국가의 정당간의 정권교체와는 전혀 다른 것이다. 원래 이슬람교는 평화롭고 평등한 종교이다. 이슬람 강경파 또는 무장조직이 결코 전체 이슬람을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 둘째 유대인을 고찰하였다. 고대 유대인과 현대 유대인을 고찰하였다. 현대 유대인은 몇 개의 분파가 존재하며, 혈연적 민족이라기 보다는 종교적 민족이다. 그리고 분파들 사이에도 대립과 갈등이 존재한다. 셋째 반유대주의와 시오니즘을 고찰했다. 네 번째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의 원인을 고찰했다. 유대인에 대한 차별, 강대국의 비밀조약과 정치적 음모, 강대국의 이권 개입, 이스라엘 정착촌 건설, 미국의 친이스라엘 정책, 아랍의 분열, 아랍의 반발의 7개의 원인을 고찰하였다. 오늘날 아랍에서의 분쟁의 직접적인 원인은 서구국가들이 만들었다. 과거 식민지배를 하면서 현재의 갈등의 씨앗을 뿌린 서구국가들이 민주주의와 평화를 이야기하는 것은 역설적인 상황이다. 서구 열강이 만들어 놓은 늪에서 생존을 위한 전쟁을 하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에게 윤리와 인류애를 요구하는 것은 과거를 망각한 위선적 행동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causes of the Israel-Hamas war that broke out in 2023. The parties to the 2023 war are Israel and Hamas, but the Israel-Hamas war is the total result of humanity's crimes and deception that have accumulated over thousands of years. This is by no means a problem only for Israel and Hamas. Throughout long history, any nation or race has sometimes been a victim and sometimes a perpetrator. Today, Israel and Palestine are hostile to each other and constantly fight. However, although Israelis and Palestinians have different names (Jehovah and Allah), they worship the same God and have a common ancestor named Abraham (in Qu’ran, Ibrahim). While the Jews (then Hebrews) were victims of slavery in ancient Egypt, they were invaders to the Canaanites they arrived with after escaping from Egypt. A representative battle was the Battle of Jericho. According to what is described in the Bible, the Hebrews invaded the peaceful city of Jericho and killed everyone, including the elderly and children. Moreover, Jews, Canaanites, and Arabs all belong to the Semitic tribe. On October 7, 2023, war broke out between Israel and Hamas. The direct cause was an attack by the Palestinian armed group Hamas. Hamas massacred Israeli civilians and kidnapped hostages. It is an inexcusable act against humanity and a crime. However, on the same day, the Harvard Palestine Solidarity Group (HPSG) at Harvard University issued a statement condemning Israel. Moreover, 35 organizations signed this. This is difficult to understand when considering Hamas' massacre and kidnapping of civilians. This requires understanding many other aspects in addition to the bad relationship between Israel and Palestine. This paper first compared Islam, Arab countries, and the Middle East. Islam, Arab, and Middle East are concepts that have common denominators and are often used interchangeably, but they are different concepts and require a clear distinction. The conflict between Sunni and Shia within Islam is no less severe than the conflict between Islam and Christianity. The regime change between opposing sects within Islam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regime change between political parties in Western countries. Originally, Islam is a peaceful and equal religion. Islamic hardliners or militant groups by no means represent all of Islam. Second, we looked at the Jews. Ancient Jews and modern Jews were examined. Modern Jews exist in several sects and are a religious people rather than a blood people. And there are also confrontations and conflicts between factions. Third, anti-Semitism and Zionism were examined. Fourth, the causes of the Israel-Hamas war were examined. We examined seven causes of discrimination against Jews, secret treaties and political intrigues of powerful countries, interference with the interests of powerful countries, construction of Israeli settlements, US pro-Israel policies, Arab division, and Arab backlash. The direct cause of today’s conflicts in Arab countries was created by Western powers(countries). It is a paradoxical situation that Western countries, which sowed the seeds of current conflict through past colonial rule, talk about democracy and peace. Demanding ethics and humanity from Israel and Palestine, who are fighting a war for survival in the swamp of death created by Western powers, is a hypocritical act that forgets the past.

참고문헌 (75)

  1. 강영수. (1999). 「뒤집어서 읽는 유태인 오천년사」. 서울: 청년정신.
  2. 개리 버지(Gary M. Burge). (2019). 「팔레스타인은 누구의 땅인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에 대해 그리스도인들이 듣지 못하는 것」. 이선숙 번역. 서울: 새물결플러스.
  3. 공일주. (2010). 「이슬람 율법」. 경기: 살림.
  4. 김기윤・김보라. (2023). 하나의 땅, 두 민족의 비극, 두 국가 해법 말고는 답이 없다. 동아일보. 2023년 10월 28일.
  5. 니홀라스 할라스(Nicholas Halasz). (2015). 「나는 고발한다: 드레퓌스사건과 집단히스테리」. 황의방 옮김. 서울: 한길사.
  6. 라시드 할리디(Rashid Khalidi). (2021). 「팔레스타인 100년 전쟁」. 유강은 번역. 경기: 열린책들.
  7. 로즈메리 홀리스(Rosemary Hollis). (2021). 중동과 유럽. 루이즈 포셋(Louise Fawcett) 엮음. 「중동의 국제관계」. 백승훈 외 2인 옮김. 서울: 미래엔: 795-833.
  8. 마리나 칼쿨리(Marina Calculli). (2021). 중동과 안보: 2003년 이라크 전쟁 이후 폭력의 정치. 루이즈 포셋(Louise Fawcett) 엮음. 「중동의 국제관계」. 백승훈 외 2인 옮김. 서울: 미래엔: 430-466.
  9. 마이클 C. 허드슨(Michael C. Hudson). (2021). 중동과 미국. 루이즈 포셋(Louise Fawcett) 엮음. 「중동의 국제관계」. 백승훈 외 2인 옮김. 서울: 미래엔: 702-754.
  10. 마테오 레그렌치(Matteo Legrenzi). (2021). 걸프 지역의 국제관계. 루이즈 포셋(Louise Fawcett) 엮음. 「중동의 국제관계」. 백승훈 외 2인 옮김. 서울: 미래엔: 605-645.
  11. 미로슬라브 볼프(Miroslav Volf). (2016). 「알라(Allah): 기독교와 이슬람의 신은 같은가?」. 백지윤 옮김. 서울: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12. 미야자키 마사카츠(宮崎正勝). (2020). 「중동과 이슬람 상식도감」. 안혜은 백지윤 옮김. 경기: 이다미디어.
  13. 박재선. (2002). 「제2의 가나안 유태인의 미국」. 서울: 해누리.
  14. 송금영. (2020). 「아프리카 깊이 읽기: 오천년 역사와 문화, 대외관계를 읽다」. 서울: 민속원.
  15. 슐로모 산드(Shlomo Sand). (2017). 「유대인, 불쾌한 진실」. 알이따르 옮김. 서울: 훗.
  16. 스티븐 카슬(Stephen Castles)・마크 J. 밀러(Mark J. Miller). (2013). 「이주의 시대」. 한국이민학회 옮김. 서울: 일조각.
  17. 신기섭. (2023). 이스라엘, 가자지구 원천 봉쇄, “인질 석방 때까지 수도・전기 차단”. 한겨레신문. 2023년 10월 12일.
  18. 아비 슐레임(Avi Shlaim). (2021). 오슬로협정의 흥망성쇠. 루이즈 포셋(Louise Fawcett) 엮음. 「중동의 국제관계」. 백승훈 외 2인 옮김. 서울: 미래엔: 569-604.
  19. 에드워드 사이드(Edward W. Said)・다니엘 바렌보임(Daniel Barenboim). (2011). 「평행과 역설: 장벽을 넘어 흐르는 음악과 정치」. 노승림 옮김. 서울: 알라딘.
  20. 오거스터스 리처드 노튼(Augustus Richard Norton). (2021). 중동의 정치 개혁 퍼즐. 루이즈 포셋(Louise Fawcett) 엮음. 「중동의 국제관계」. 백승훈 외 2인 옮김. 서울: 미래엔: 252-299.
  21. 요하임 그닐카(Joachim Gnilka). (2005). 「성경과 코란: 무엇이 같으며 무엇이 다른가」. 오희천 옮김. 서울: 중심.
  22. 유진 L. 로건(Eugene L. Rogan). (2021). 중동, 근대국가 체제의 도래. 루이즈 포셋(Louise Fawcett) 엮음. 「중동의 국제관계」. 백승훈 외 2인 옮김. 서울: 미래엔: 87-130.
  23. 유흥태. (2017). 「시아 이슬람」. 경기: 살림.
  24. 이기욱・이지윤・김보라. (2023). 중앙정부 부재 속 세력 키운 이슬람 무장단체 대해부. 동아일보. 2023년 10월 21일.
  25. 이민석. (2023). 하버드 학생들 ”폭력 사태 이스라엘에 전적인 책임“ 성명. 미 정치권 발칵. 조선일보. 2023년 10월 10일.
  26. 이세형. (2020). 「중동 라이벌리즘」. 서울: ㈜스리체어스.
  27. 이철민. (2021). 이스라엘이 미국서 최대 군사원조 받으면서도, 갈수록 ‘독자적’인 이유. 조선일보. 2021년 05월 25일.
  28. 이청아. (2023). 유엔총장 ”하마스 공격 진공상태서 생긴 것 아냐“, 이스라엘 ”사퇴하라“. 동아일보. 2023년 10월 26일.
  29. 이희수. (2011). 「이슬람 문화」. 경기: 살림.
  30. 일란 파페(Ilan Pappe). (2017). 「팔레스타인 비극사: 1948, 이스라엘의 탄생과 종족청소」. 유강은 옮김. 서울: 열린책들.
  31. 임기대. (2021). 「베르베르 문명: 서구중심주의에 가려진 이슬람과 아프리카의 재발견」. 경기: 한길사.
  32. 임병필. (2018). 「샤리아, 알라가 정한 길」. 서울: 모시는 사람들.
  33. 임용한・조현영. (2022). 「중동전쟁: 전쟁이 끝나면 정치가 시작된다」. 경기: ㈜북이십일 레드리버.
  34. 임형백. (2014). 지방자치선거와 이주민의 참정권. 「다문화와 평화」, 8(2): 48-66.
  35. 임형백. (2022). 아프리카 국가들의 국가발전과 경제발전의 장애물: 민족주의와 부족주의의 충돌. 「지역정책연구」, 33(1): 167-192.
  36. 임형백. (2023). 세계화와 국제이주. 남부현 외 6인. 「이민정책론」. 서울: 법문사: 3-19.
  37. 장지향. (2023). 「최소한의 중동 수업」. 서울: 시공사.
  38. 정성호. (2003). 「유대인」. 경기: 살림.
  39. 정유진. (2021). 오스만제국 시절 유대인이 산 땅이니 나가라. 이-팔 갈등 뒤에는 유대인 정착촌 확장 정책. 경향신문. 2021년 05월 16일.
  40. 존 로즈(John Rose). (2018). 「강탈국가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강탈의 역사」. 이정구 번역. 서울: 책갈피.
  41. 진원숙. (2010). 「이슬람의 탄생」. 경기: 살림.
  42. 찰스 스미스(Charles Smith). (2021). 아랍-이스라엘 분쟁. 루이즈 포셋(Louise Fawcett) 엮음. 「중동의 국제관계」. 백승훈 외 2인 옮김. 서울: 미래엔: 515-568.
  43. 하정민. (2023). ‘난민’서 ‘억만장자’ 된 하니예(하마스 정치 지도자). 동아일보. 2023년 11월 08일.
  44. 해리스 이르판(Harris Irfan). (2015). 「이슬람 은행에는 이자가 없다: 떠오르는 이슬람 금융과 샤리아의 모든 것」. 강찬구 역. 서울: 처음북스.
  45. 홍미정. (2016). 「21세기 중동 바르게 읽기」. 서울: 서경문화사.
  46. Agamben, G. (2005). State of Exception.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7. Boniface, P. (2011). La Géopolitique. Paris: Groupe Eyrolles.
  48. Booth, K. and N. J. Wheeler. (2008). The Security Dilemma. London: Palgrave Macmillan.
  49. Bourke, S. (2008). The Middle East: The Cradle of Civilization Revealed. Australia: Global Book Publishing.
  50. Camps, G. (2007). Les Berbères: Mémoire et identité. Arles: Actes Sud.
  51. Delcambre, Anne-Marie. (1987). Mahomet, la parole d’Allah. Paris: Les editions Gallimard.
  52. García-Arenal, M et al. (eds.). 2002. The European Qur’an. Germany: De Gruyter.
  53. Gerges, F. (2005). The Far Enemy: Why Jihad Went Global.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4. Glaser, C. L. (1997). The Security Dilemma Revisited. World Politics, 50(1): 171-201.
  55. Halasz, N. A. (1955). Captain Dreyfus: The Story of a Mass Hysteria. New York: Simon and Schuster.
  56. Hare, R. A. (1972). The Great Divide: World War Ⅱ. The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401: 23-30.
  57. Hurewitz, J. C. (1979).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in World Politics: A Documentary Record. vol. 2. British-French Supremacy, 1914-1945 (2nd edn).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58. Jarmal, A. A. and M. Robbins. (2023). What Palestinians Really Think of Hamas: Before the War, Gaza’s Leaders Were Deeply Unpopular-but an Israeli Crackdown Could Change That. Foreign Affairs.
  59. Jervis, R. (1978). Cooperation under the Security Dilemma. World Politics, 30(2): 167-213.
  60. Johnson, I. and B. Gugath. (2002). Turkish voters are transforming political landscape in Germany. The Wall Street Journal, 29 September 2002.
  61. Koestler, A. (1976). The Thirteenth Tribe: The Khazar Empire and Its Heritage. Hutchinson, UK: Random House.
  62. Laqueur, W. and B. Rubin(eds). (1985). Israel-Arab Reader: A Documentary History of the Middle East Conflict (4th edn). Harmondsworth: Penguin.
  63. Lesch, D. W. (2007). The Arab-Israeli Conflict: A Histor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64. Mearsheimer, J. J. and S. M. Walt. (2007). The Israel Lobby and U.S. Foreign Policy. New York: Farrar, Straus and Giroux.
  65. Oren, M. B. (2002). Six Days of War: June 1967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Middle East.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66. Pappe, I. (1984). Britain and the Arab-Israeli Conflict, 1948-1951. London: St. Antony’s/ Macmillan Press.
  67. Pappe, I. (1992). The Making of the Arab-Israeli Conflict, 1947-1951. London: I.B. Tauris.
  68. Pappe, I. (1999a.) A History of Modern Palestine: One Land, Two Peopl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9. Pappe, I. (1999b). The Israel/Palestine Ques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70. Pappe, I. (2007). The Ethnic Cleansing of Palestine. Oxford: Oneworld Publications.
  71. Said, E. W. (1978). Orientalism. New York: Pantheon Books.
  72. Said, E. W. and D. Barenboim. (2004). Parallels and Paradoxes: Explorations in Music and Society. New York: Vinatage.
  73. Salvi, G. (2000). Le grandi religioni, Dalle origini al mondo di oggi. Firenze, Italia: DoGi S.p.A.
  74. Segev, T. (2000). One Palestine, Complete: Jews and Arabs under the British Mandate. London: Abacus Books.
  75. Tivnan, E. (1987). The Lobby: Jewish Political Power and American Foreign Policy. New York: Simon & Schuster.

참고문헌 더보기
전체 논문 수 319
게시물 검색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