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의 새로운 가치와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제적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는 연구기관

저널명
다문화와 평화(Multiculture & Peace)
등재사항
KCI등재
수록권호
제17권 3호 (통권 40호)
발행일
2023.12
수록논문
11 articles
유형
학술저널
주제
복합학
발행기간
2023.12 ~ 2024.04
발행주기
연 3회
총 권호 수
2 volumes
총 논문 수
19 articles

키워드

불법 이주노동자, 불법성의 사회구조, 국제이주, 이주노동시장, 상호의존성
Illegal Migrants, Social Fabric of Illegality, Migration, Migrant Labor Market, Interdependence

초록

이 글은 일자리를 찾아 국경을 넘는 이주노동자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이주제도와 사회적 현실 간의 격차가 ‘불법성’으로 표출된다고 본다. 따라서 이 글은 이주노동자의 불법성을 이해하기 위해 이주노동자의 법적 위반이나 이주노동자에 대한 통제보다 다양한 실천과 사회관계가 구성하는 점점 복잡다단해지는 불법성의 사회구조(social fabric)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불법 이주노동자를 ‘바람직하지 않은 존재’ 또는 ‘잉여’의 존재, 추방하여야 할 부류로 간주하는 것은 불법성이 나타나는 현실적 이유-이주노동력의 경제적 필요성 및 사회적 실재-를 왜곡하거나 부정하는 것이다. 이는 불법성이 사실 자본주의 작동 방식에 따른 노동의 유연화나 글로벌 노동시장의 분절, 국가 정책・법제도에 의해 출현하고, 한국인 고용주, 중개인, 지역상인, 집주인과 이주노동자가 서로 형성해온 상호관계에 의해 구성된다는 점을 간과하게 한다. 특히 작업장에서의 이주노동자와 한국인 노동자 및 고용주 간의 상호의존성은 이주자를 엄격한 ‘불법’과 ‘합법’ 범주로 구분하거나 불법 이주자가 곧 ‘나쁜’ 이주자라는 등식의 허구성을 드러낸다.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gap between the migration regime and social reality, which arises from the increasing number of migrant workers crossing borders in search of work, is expressed as 'illegality'. To understand illegality, this article argues that we should focus on the social fabric of illegality, which is constituted by a variety of practices and social relations and is increasingly complex, rather than on legal violations or controls on migrant workers. Treating illegal migrant workers as 'undesirables' or 'surplus' or as a category to be deported distorts or denies the real reasons for their illegality-their economic necessity and social reality. It prevents us from seeing that illegality comes with the flexibility of labor, the fragmentation of global labor markets, and is directed by national policies and legal systems. Illegality is actually constituted by the interrelationships that Korean employers, brokers, local merchants, landlords, and migrant workers have formed with each other. In particular, the interdependence among migrant workers, and Korean workers and employers in the workplace exposes the fiction of dividing migrants into strictly illegal and legal categories, or that illegal migrants are "bad" migrants.

참고문헌 (22)

  1. 강윤희. (2012). 환영받지 못하는 천국의 시민: 미국 내 인도네시아 미등록 이주민들의 체험된 경험으로서의 불법성. 「비교문화연구」, 18(2): 5-51.
  2. 고준기. (2006). 외국인고용허가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현행법의 인권침해적 조항의 법제도적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노동법논총」, 287-327.
  3. 권은혜. (2016). 근대 미국의 “불법 이민” 형성과 합법화의 대안 사이에서: 1920 년대 이후 멕시코 이민관련 정책을 중심으로. 「HOMO MIGRANS」, 14: 82-102.
  4. 권채리. (2020). 「이민행정의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법제 개선방안 연구」. 서울: 한국법제연구원
  5. 김민정. (2011). 필리핀 노동 이주 여성의 일과 한국 생활: 미등록 장기체류의 역설. 「한국문화인류학」, 44(2): 313-358.
  6. 김윤식. (2007). 미등록 (불법체류) 이주 노동자의 합법화에 관한 국제 비교 연구.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1165-1175.
  7. 김철효. (2020). 외국인 비합법 노동시장에 대한 이론적 검토. 「노동리뷰」, 4월호, 7-29.
  8. 김현미. (2020). “글로벌 노동 유연화와 유학생-노동자의 사례: 수도권 물류서비스업을 중심으로.” 「노동리뷰」, 4월호, 63-78.
  9. 김현미・김철효・이규용・주수인. (2020). 이주노동자가 만든 한국 배: 조선 블록업체에 고용된 숙련 이주노동자의 노동경험. 「한국문화인류학」, 53(3): 147-190.
  10. 김현미・류유선. (2013). 미등록이주민의 사회적 관계와 지역재생산: 경기도 A 공단 사례를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 19(2): 53-84.
  11. 김현희. (2019). 불법과 합법 사이의 경계에서: 미국 이민법제의 변동과 한인 미등록 청년의 삶. 「비교문화연구」, 25(1): 95-135.
  12. 바트챙게르. 투맹뎀베렐・김도혜. (2020). 유학생 노동의 불법성 연구: 한국 지방대학의 몽골과 베트남 유학생의 노동경험을 중심으로. 「현대사회와다문화」, 10(2): 25-52.
  13. 양순미・유일상・양예숙. (2018). 고용허가제도 이후 농축산업 분야 외국인근로자 근무지이탈과 불법체류에 관한 질적 연구: 고용농가 대상의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농촌사회」, 28(2): 87-140.
  14. 우춘희. (2020). 코로나 19 로 인한 국경 이동의 제한이 이주민의 삶에 미치는 영향: 캄보디아 이주농업노동자 사례를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86-87.
  15. 우춘희. (2022). 「깻잎 투쟁기: 캄보디아 이주노동자들과 함께한 1500일」. 서울: 교양인.
  16. 윤자호. (2021). [이슈페이퍼] 한국 이주노동자 실태와 고용허가제의 현황 -비전문 취업자(E-9). 방문취업자(H-2)를 중심으로. http://www.klsi.org/bbs/board.php?bo_table=B03 &wr_id=2552 (2023. 11. 12. 접속)
  17. 이규용. (2020). 외국인 비합법 체류 및 고용실태. 「노동리뷰」, 4월호, 30-49.
  18. 이규용・김현미・김철효・주수인. (2019). 「외국인 비합법 노동시장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연구보고서 2019-13. 한국노동연구원.
  19. 이창호. (2013). 이주민 일상 속의 사회적 연결망 연구: 필리핀, 베트남 및 중국조선족 이주민의 사례를 중심으로. 「디아스포라연구」, 7(2): 109-136.
  20. 이창호. (2022). ‘불법’이주의 생산과 사회문화적 구성: 경기도 공단 인근 미등록 이주민의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45: 239-280.
  21. 이충훈. (2007). 국제 이주 노동의 정치경제학 미국을 중심으로. 「시민사회와 NGO」, 91-120.
  22. 이충훈. (2011). 국제 이주 노동과 이민 정책의 이중성: 장하준의

참고문헌 더보기
전체 논문 수 319
게시물 검색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