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의 새로운 가치와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제적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는 연구기관

저널명
다문화와 평화(Multiculture & Peace)
등재사항
KCI등재
수록권호
제17권 3호 (통권 40호)
발행일
2023.12
수록논문
11 articles
유형
학술저널
주제
복합학
발행기간
2023.12 ~ 2024.04
발행주기
연 3회
총 권호 수
2 volumes
총 논문 수
19 articles

키워드

북한이탈주민, 노동자, 주체사상의 극복, 새로운 정체성, 주제 분석
North Korean defectors, worker, Overcoming Juche Ideology, new identity, Theme analysis

초록

본 연구는 노동자 출신 북한이탈주민들의 정체성 재구성과 주체사상 극복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에서는 노동자 출신 북한이탈주민들이 주체사상을 어떻게 극복했으며 새로운 정체성 구성의 결과는 어떠한지를 탐구하고자 했다. 연구자는 사례연구 방법으로 접근했다. 연구자들은 최대변량표집으로 접근하여 9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했다. 자료는 연구 참여자들과 일대일 심층 면담을 수행하여 구성했다. 자료 분석은 Braun과 Clarke(2005)가 제시한 주제 분석 방법으로 접근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141개의 의미 있는 주제가 도출되었고 이를 22개의 주제로 압축했다. 그리고 7개의 주제 결집으로 제시했다. 주제 결집은 계급 해체의 희망, 선군정치의 그늘, 통제의 권력 속에서 권리의 압류, 배고픈 공화국에 대한 분노, 사상의 올무 끊기, 기회의 발견과 도전, 국민을 섬기는 국가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논의를 했고 북한이탈주민들의 발전과 도전을 위한 구체적 제언을 했다.

This study is about reconstructing the identity of North Korean defectors who were as laborers and overcoming their Juche ideology. In this study, we tried to explore how workers-turned-North Korean defectors overcame the Juche ideology and what the results of the new identity construction were. The authors approached the case study method. Nine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by approaching the maximum variance sampling.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s. Data analysis was approached with the thematic analysis method suggested by Braun and Clarke (2005).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141 meaningful themes were derived, and they were compressed into 22 themes. And it was presented as a collection of 7 themes. The thematic gatherings appeared as the hope of class dissolution, the shadow of military-first politics, seizure of rights in the power of control, anger against the hungry republic, breaking the snare of ideas, discovery and challenge of opportunities, and a nation serving the people. Discussions were hel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d specific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development and challenge of North Korean defectors.

참고문헌 (37)

  1. 김근식. (2014). 김정은 시대의 김일성-김정일주의: 주체사상과 선군사상의 추상화. 「한국과 국제정치」, 30(1), 65-92.
  2. 김병로. (2013). 북한의 시장화와 계층구조의 변화. 「현대북한연구」, 16(1), 171-213.
  3. 김성경. (2013). 북한이탈주민의 월경과 북・ 중 경계지역: 감각’되는 ‘장소’와 북한이탈여성의 ‘젠더’화된 장소 감각. 「한국사회학」, 47(1), 221-253.
  4. 김영욱. (2005). 주체사상을 통해 나타난 북한의 세계관 이해. 「복음과 실천신학」, 9, 107-140.
  5. 김종원. (2019). 북한이탈주민의 재이주: 남한주민의 정치 인식을 중심으로. 「글로벌정치연구」, 12(1), 41-65.
  6. 강창구. (2011). 북한이탈주민의 정착문제와 전망-취업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0(1), 51-63.
  7. 김창근. (2018). 북한이탈주민 지역사회통합 제고 방안: 지역거버넌스의 역할을 중심으로. 「윤리연구」, 1(121), 197-225.
  8. 노상헌. (2017). 제4차 산업혁명과 사회보장법의 과제. 「산업관계연구」, 27(2), 33-55.
  9. 노길수. (2020). 북한이탈주민 정착과 남북한 사회통합 연구. 「접경지역통일연구」, 4(1), 177-201.
  10. 박병애. (2020). 탈북민 목회자 생애사 분석을 통한 복음수용성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1. 박병애. (2022), 탈북 기독교인의 주체사상 극복에 대한 연구: 근거이론 (Grounded Theory) 연구 접근. 「선교신학」, 65, 113-156.
  12. 방인혁. (2009). 한국의 변혁운동과 사상논쟁: 마르크시즘・주체사상・NL・PD 그리고 뉴라이트.까지. 소나무.
  13. 박종일・김은정. (2008). ‘집단정체성(groupidentity)’연구에서 ‘근원주의(essentialism)’와 ‘구성주의(constructivism)’의 검토: ‘민족’과 ‘연령집단’을 중심으로. 「사회와 이론」. 13, 309-323.
  14. 설진배・송은희. (2015). 사회통합관점에서의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방향: 델파이 조사를 통한 북한이탈주민 수요분석을 중심으로. 「평화학연구」, 16(5), 193-216.
  15. 신은희. (2003). 포스트모던 철학속에서 다시 만나는 주체사상. 「민족사상연구」, 11, 201-219.
  16. 오주연. (2021). 갈등분석을 통한 북한이탈주민 사회통합사업의 방향성 제고. 「현대사회와다문화」, 11(2), 163-197.
  17. 윤보영. (2016). 경계/탈경계의 단계별 유형화를 위한 시도-자율적 삶을 추구하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례연구. 「북한연구학회보」, 20(2), 63-92.
  18. 윤지원・박미라. (2022). 대학생의 저출산ㆍ고령화사회 및 인구교육 관련 인식이 가족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13(5), 1375-1388.
  19. 이근무・이재관. (2021). 북한이탈주민들의 직업생활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Glaser의 근거이론 접근. 다문화와 평화, 16(2), 1-29.
  20. 이은성. (2022). 북한군 간부 출신 북한이탈주민의 주체사상 극복과 복음 수용 과정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1. 이재관. (2022), 북한이탈주민들의 주체사상 극복과 한국 사회 적응에 관한 사례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2. 이종우. (2020). ‘주체사상 생명론’의 비판적 상황화 담론을 통한 북한 이탈주민 선교방안. 「생명과 말씀」, 28(3), 209-243.
  23. 이지연. (2022).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초국적 모성과 혼종성. 「가족과 문화」, 34(2), 128-157.
  24. 이지영・최경원. (2021). 북한이탈주민 직장적응 실태 분석과 제언. 「대한정치학회보」, 29(1), 55-87.
  25. 이현주. (2016). 북한의 유일사상체계 집단정체성과 한반도 사회통합사상: 켄윌버의 통합사상 관점을 중심으로. 한반도국제포럼 2016 통일・북한학 학술대회 자료집. 97-115.
  26. 정병호. (2013). 주체사상과 북한외교정책-사상적 기조가 외교정책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4(1), 23-52.
  27. 정태연. (2000). 남북통합의 사회심리학: 사회정체감과 집단 간 갈등을 중심으로. 「통일문제연구」, 12(1), 268-284.
  28. Sire, J. (2001). 기독교 세계관과 현대사상, 김헌수 역(서울: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29. 조인수・손민정・최정은. (2020). 북한이탈주민의 직업문화충돌과 직업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1(1), 354-372.
  30. 차은지. (2014). 북한 사회구조변화와 농민층의 사회 불편등,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통일부. (2022). 북한이탈주민정책(2022. 12월 기준).
  32. 한결. (2020). 북한이탈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새로운 접근: 한국식 동화-다문화주의 모델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황선재. (2022). 인구고령화와 세대갈등: 자원배분을 둘러싼 세대간 형평. 「사회과학연구」, 33(2), 149-172.
  34. Cresswell, J. W. (2007).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 London, NY:Sage.
  35. Padgett, D. K. (2016). QualitativeMethodsinSocial Work Research:Challenges and Rewards. Thousand Oaks, CA:Sage.
  36. Rogers, Brubaker and Frederick Cooper. (2000). “Beyond Identity.” Theory and Society. 29(1), 1-47.
  37. Yin, R. K. (2009).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5. Thousand Oaks, CA:Sage.

참고문헌 더보기
전체 논문 수 319
게시물 검색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