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의 새로운 가치와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제적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는 연구기관

저널명
다문화와 평화(Multiculture & Peace)
등재사항
KCI등재
수록권호
제18권 1호 (통권 41호)
발행일
2024.04
수록논문
8 articles
유형
학술저널
주제
복합학
발행기간
2023.12 ~ 2024.04
발행주기
연 3회
총 권호 수
2 volumes
총 논문 수
19 articles

키워드

가족이주, 부모초청, 이주민, 성인-부모자녀 돌봄, 사회통합
Family Migration, Sponsoring Parents, Adult Child-Parent Caregiving, Social Integration

초록

이 연구에서는 정주 이주민의 부모 세대 초청과 관련된 국내외 제도 현황과 태도에 대해 분석하
였다. 이주민의 정주화와 관련하여 해외에서는 이주민의 부모초청을 유인 요인으로 고려하고
있어 정주형 이주민의 확대를 고려하는 한국의 현시점에서도 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연구
에서는 먼저 한국의 부모 초청 관련 제도를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이주민 중 다수의 출신국인
중국, 베트남, 일본의 부모 세대에 대한 돌봄에 대한 태도를 탐색하여 잠재적 요구도를 검토하
였고, 한국인의 성인-부모자녀 돌봄에 대한 태도 및 이주민 부모 초청에 대한 태도를 통해 사회
적 합의가 가능할지를 고찰하였다. 최근 이주민 부모초청 제도를 변경한 캐나다와 뉴질랜드의
사례를 통해 시사점을 살펴본 후 현행 한국의 부모 초청 관련 제도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attitudes concerning the immigrants’ invitation of foreign
parents and analyzed migration policies regarding the reunification of elderly parents.
Sponsoring elderly parents is regarded as a significant factor facilitating immigrants'
integration in certain countries. The research delved into attitudes regarding support
obligations towards elderly parents, particularly focusing on China, Vietnam, and
Japan, the primary sending countries for immigrants in Korea, to gauge their potential
needs. To assess public consensus on inviting immigrant parents, we examined
attitudes towards the relationships between adult children and their parents and
towards the invitation of immigrant parents. Recent policies in Canada and New
Zealand were compared to those in Korea regarding family sponsorship. Suggestions
were made for future policy revi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참고문헌 (62)

  1. 고용노동부(2022.12.29.). 장기근속 숙련 외국인근로자는 더 오래 함께 일한다(고용허가제 개
  2. 편방안 발표). 보도자료. (검색일: 2023.12.31.)
  3. 법무부(2020.12.21.). 법무부, ‘국민인 자녀가 성인이 될 때까지 잘 보살핀 한부모 결혼이민자’ 에게 안정적인 체류자격 부여키로. 보도자료. (검색일: 2023.12.31.)
  4. 법무부(2022.7.25.). 법무부, 지자체 수요 기반의 ‘지역특화형 비자’ 시범 실시 「‘22.7.25.~
  5. 8.19.까지 시범사업 참여 지자체 공모」. -지역 맞춤형 비자 정책으로 지역인재 확보와
  6. 국가 균형발전 도모. (검색일: 2024. 4.15.)
  7. 법무부(2023. 9.). 등록외국인 지역별 현황(2023년 9월말 기준).
  8. 서울시 외국인주민대표자회의(2020). 2020년 상반기 외국인주민대표자회의 전체회의 자료집. 장주영(2023). 가족이주 정책의 특성과 한국 가족이주 정책 사례 검토. 「가족정책연구」, 3(2):
  9. 23-38.
  10. 장주영・박민정(2019). 「국내 가족이민 연구: 가족이주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경기도 고양:
  11. 이민정책연구원. 장주영・박민정・문경연・육수현・이지연・허정원(2020). 「결혼이민자 사회통합을 위한 선별적
  12. 가족초청 제도 연구」. 경기도 과천: 법무부. 허정원・장주영・육수현・박민정・고민경・김경민(2019). 「베트남 결혼이주여성과 본국초청가
  13. 족의 한국생활 연구」. 경기도 고양: 이민정책연구원. Block, L.(2015). Regulating membership: Explaining restriction and stratification of
  14. family migration in Europe. Journal of Family Issues, 36(11): 1433-1452.
  15. Bélanger, D. & Candiz, G.(2020). The politics of ‘waiting’ for care: immigration policy
  16. and family reunification in Canada. Journal of Ethnic and Migration Studies,
  17. 46(16): 3472-3490.
  18. Bonjour, S. & de Hart, B.(2013). A proper wife, a proper marriage: Constructions of ”us“
  19. and ”them“ in Dutch family migration policy. European Journal of Women’s
  20. Studies, 20: 61-76.
  21. Bragg, B. & Wong, L. L.(2016). “Cancelled dreams”: Family reunification and shifting
  22. Canadian immigration policy. Journal of Immigrant & Refugee Studies, 14(1):
  23. 46-65.
  24. 102 다문화와 평화 제18집 1호
  25. Gao, S., Dupre, K., & Bosman, C.(2023). Parenting immigrants: Understanding how
  26. family relationships impact the wellbeing of older Chinese immigrants living
  27. on the Gold Coast, Australia. Journal of Family Issues, 44(12): 3176-3198.
  28. Franklin, D.(2015). The parent and grandparent sponsorship program reforms: The
  29. consequence of a neoliberal shift. RCIS Working Paper No. 2015/5. Toronto:
  30. Ryerson Centre for Immigration and Settlement.
  31. Hamilton, M., Hill, E., & Kintominas, A.(2022). Moral geographies of care across
  32. borders: The experience of migrant grandparents in Australia. Social Politics,
  33. 29(2): 379-404.
  34. Liu, L. S. & Ran, G. J.(2022). Contemporary family sponsorship and old parent
  35. reunification immigration under New Zealand’s neoliberal immigration regime.
  36. Journal of Population Research, 39: 73-95.
  37. Nedelcu, M.(2023). Family reunification migrants and the Zero Generation. In S.
  38. Torress & A. Hunter (Eds.). Handbook on migration and ageing (pp. 196-206).
  39. Cheltenham, UK: Edward Elgar Publishing Limited.
  40. Nguyen, H. T., Baldassar, L., & Wilding, R.(2023). Care visits: obligations, opportunities
  41. and constraints for Vietnamese grandparent visitors in Australia. Journal of
  42. Ethnic and Migration Studies, 49(4): 996-1013.
  43. OECD.(2017). International migration outlook 2017. Paris: OECD Publishing.
  44. OECD.(2022). International migration outlook 2022. Paris: OECD Publishing.
  45. OECD.(2023). International migration outlook 2023. Paris: OECD Publishing.
  46. Pellander, S.(2018). The ageing body as a bordering site: Narrowing definitions of
  47. dependency for elderly family reunification in Finland. Nordic Journal of
  48. Migration Research, 8(3): 159-166.
  49. Roguski, S., & Pound, C.(2018). Proposals to change the New Zealand Residence
  50. Programme parent category and update its requirements. Ministry of Business,
  51. Innovation & Employment, New Zealand.
  52. Schmidt, G.(2011). Law and identity. Transnational arranged marriages and the
  53. boundaries of Danishness. In K. Olwig, B. R. Larsen, & M. Rytter (Eds.). Migration,
  54. 정주형 이주민의 부모초청 제도 활성화 방안 재검토 103
  55. family, and the welfare state (pp.77-95). London: Routledge.
  56. VanderPlaat, M., Ramos, H., & Yoshida, Y.(2012). What do sponsored parents and
  57. grandparents contribute? Canadian Ethnic Studies, 44(3): 79-96.
  58. Wang, C. J. & Hari, A.(2024). Chinese grand (parenting) encourages a re-imagining of
  59. Canada’s immigration regime. International Migration, 62(1): 112-125.
  60. Wyss, M. & Nedelcu, M.(2020). Grandparents on the move: A multilevel framework
  61. analysis to understand diversity in zero-generation care arrangements in
  62. Switzerland. Global Networks, 20(2): 343-361.

참고문헌 더보기
전체 논문 수 319
게시물 검색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