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의 새로운 가치와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제적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는 연구기관

저널명
다문화와 평화(Multiculture & Peace)
등재사항
KCI등재
수록권호
제18권 1호 (통권 41호)
발행일
2024.04
수록논문
8 articles
유형
학술저널
주제
복합학
발행기간
2023.12 ~ 2024.04
발행주기
연 3회
총 권호 수
2 volumes
총 논문 수
19 articles

키워드

이중문화수용태도, 자아존중감, 사회적위축
Adolescent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icultural Attitude, Self-Esteem, Social Withdrawal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 자아존중감 그리고 사회적 위축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위
축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이중문화수용태도가 사회적위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고, 이중문화수용태도와 사회적위축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
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구축한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9차년도에 해당하는 자료 중
주요변인의 결측치를 제외한 959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AMOS 24.0, SPS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변인간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부트스트
래핑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이중문화수용태도는 사회적위축에 직접 영향을 미쳤다. 둘
째, 이중문화수용태도와 사회적위축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연
구결과를 기반으로 지역사회와 학교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다문화관련 정책이나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이중문화에 대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및 교육, 그리고 자아존중
감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등의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confirm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bicultural attitude, self-esteem, and social withdrawal among youth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previous research, we set the social withdrawal of
multicultural youth as a dependent variable, examined the impact of bicultural
attitude on social withdrawal, and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icultural attitude and social withdrawal.In this study, data from
959 people, excluding missing values for key variables, were analyzed from the 9th
year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data constr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SPSS 27.0 and AMOS 24.0 programs were us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bootstrapping was used to
examine mediation effec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bicultural attitude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social withdrawal. Seco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icultural attitude and social
withdrawal.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to systematically
operate multicultural-related policies and programs for youth in local communities
and schools, develop and educate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bout bicultural
attitude, and develop and operate programs to improve youth self-esteem.

참고문헌 (152)

  1. 곽지영(2020). 다문화가족 자녀의 이중문화수용태도 변화유형에 따른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65: 165-188.
  2. 권민혁(2020). 다문화청소년의 체육특기적성활동 참가와 교우관계 및 문화적응스트레스의 관
  3. 계. 「한국웰니스학회지」, 15(1): 39-47.
  4. 김미선(2017). 청소년의 자존감과 외로움이 사회적위축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폰 중독의 매
  5. 개효과를 중심으로 -. 「사회복지경영연구」, 4(2): 1-22.
  6. 김민지(2018). 다문화가정 자녀의 문화적 정체성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디아스포라연구」, 9(2): 197-231.
  7. 김선희・김경연(1998). 아동 및 청소년의 행동문제 척도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4):
  8. 155-166.
  9. 김승경・양계민(2012). 다문화가정 학생의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이중언어
  10. 요인, 이중문화요인 및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9(11): 147-176.
  11. 김애경(2001). 아동과 초기 청소년의 사회적 행동. 「아동학회지」, 22(3): 271-285.
  12. 김우진・정지아・심태은・이송이(2017).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다문화 청소년의 언어능력과
  13. 이중문화수용성에 따른 자아탄력성 변화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8(4): 167-194.
  14. 김은경・조대연・정윤호.(2022).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위축, 교사관계, 삶의 만
  15. 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다문화가족정책 지원 경험 유・무에 따른 다집단분석. 「교육문
  16. 화연구」, 28(4): 303-327.
  17. 김주환・김민규・홍세희(2009). 「구조방정식으로 논문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김평화・윤혜미(2020).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
  18. 에 미치는 영향: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종단매개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27(1): 25-53.
  19. 김후남(2018). 「청소년의 초기 외상경험과 우울의 관계: 거부민감성, 사회적위축, 대인관계 문
  20. 제의 순차적 매개효과」.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남윤주・이숙(2009). 다문화가족과 한국인 부모 아동의 모애착, 자아개념, 일상적 스트레스, 우
  21. 울 비교.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0(3): 357-367.
  22. 노충래・홍진주(2006). 이주노동자 자녀의 한국사회 적응실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22:
  23. 127-159.
  24. 18 다문화와 평화 제18집 1호
  25. 모상현(2018).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
  26. 향:교사 및 또래친구요인의 조절효과. 「청소년문화포럼」, 54: 67-93.
  27. 민원홍・손선옥(2017). 청소년기 사회적 위축의 발달 궤적에 대한 부정적 또래관계의 영향: 부
  28. 모지도 감독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미래청소년학회지」, 14(1): 75-99.
  29. 박계란・이지민(2011).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정관
  30. 리학회지」, 29(2): 89-99.
  31. 박동진・김송미(2021).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
  32. 개효과.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 23(3): 127-146.
  33. 박동진・김송미・박경아(2022).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34. 영향: 사회적 역량과 자아존중감의 연속다중매개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20(5):
  35. 803-812.
  36. 박랑규・강우선(2006). 저소득층 아동의 정서,행동 특성.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1(1): 1-23.
  37. 박미경・차용진・이홍재(2019).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용 경험이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정
  38. 체성에 미치는 영향: 성향점수매칭을 중심으로. 「다문화사회연구」, 12(3): 107-140.
  39. 박병선・배성우・박경진・서미경・김혜지(2017). 청소년의 또래애착, 사회적 위축, 우울, 학교
  40. 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보건사회연구」, 37(2): 72-101.
  41. 박혜정・홍상황(2014).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또래괴롭힘 피해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사회적
  42. 위축 및 억제의 매개효과. 「한국초등연구」, 25(3): 1-18.
  43. 배상률(2016). 「중도입국 청소년 실태 및 자립지원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송승민・이유현(2012). 초등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학업성적에 미치는
  44. 영향. 「청소년학연구」, 19(9): 25-46.
  45. 신유림(2007). 학령기 아동의 사회적 위축성과 친구관계. 「아동학회지」, 28(5): 193-207.
  46. 신윤진・윤창영(2010). 다문화가정 아동의 이중문화적응, 또래관계 및 이중문화수용 간의 관
  47. 계. 「놀이치료연구」, 14(2): 1-14.
  48. 신지현・강현아(2018). 부모의 학대와 방임이 자녀의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49. 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44: 1-22.
  50. 양계민・강경균・김주영(2017). 「다문화청소년 종단조사 및 정책방안연구 Ⅴ」. 한국청소년정
  51. 책연구원. 여성가족부(2023). 「제4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2023∼2027) 시행계획」. 서울: 여성가
  52.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 자아존중감, 사회적 위축 구조적 관계 19
  53. 족부. 오경화(2011).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한국문화수용성과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Family
  54. and Environment Research」, 49(9): 83-97.
  55. 오동균(2019). 다문화청소년이 인식하는 부모의 방임이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에
  56. 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다변량잠재성장모형. 「중등교육연구」, 67(3): 439-459.
  57. 오승환(2006). 저소득 결손가족 청소년의 적응 결정 요인. 「한국아동복지학」, 21: 181-205.
  58. 오영경・이형실(2010). 청소년의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2(4): 51-64.
  59. 우유라・노충래(2014).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공동체
  60. 의식의 매개효과. 「청소년복지연구」, 16(2): 203-227.
  61. 유혜영・백진아(2022). 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 태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위
  62. 축의 매개효과. 「산업융합연구」, 20(10): 113-120.
  63. 이경상・백혜정・이종원・김지영(2011).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사업보고서. 한국청소
  64. 년정책연구원
  65. 이수경(2020).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와 국가정체성의 발달양상에 따른 잠재
  66. 계층 분류 및 계층별 예측요인과 문화적응스트레스 탐색. 「다문화교육연구」, 13(3):
  67. 113-139.
  68. 이은경・이선희(2017). 부모의 과잉간섭과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한
  69. 국가족복지학」, 22(4): 543-563.
  70. 이은정(2019). 「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에 대한 종단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
  71. 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이영주・이수경・박륜경(2017).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심리적 적응 및
  72. 학교적응. 「교육문화연구」, 23(5): 347-372.
  73. 이진경・이혜정(2019). 이중언어요인과 이중문화요인이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
  74. 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30(4): 81-100.
  75. 이하리・이영선(2015). 청소년의 교사・또래 애착과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
  76. 개효과: 인문계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23(2): 467-486.
  77. 이현주・강현아(2011). 국제결혼가정 아동의 문화정체감과 문화적응유형 및 심리사회적 적응
  78. 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32(4): 147-166.
  79. 20 다문화와 평화 제18집 1호
  80. 이희정(2018).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정체성 변화과정과 학교 적응. 「한국사회학」, 52(1): 77-115.
  81. 장성민・정민수(2018).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다문화수용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자아탄
  82. 력성의 매개효과. 「열린교육연구」, 26(4): 47-68.
  83. 전란영・김희화(2016). 부모의 비일관적 양육 및 과잉간섭적 양육이 초기 청소년의 사회적 위
  84. 축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시설환경」, 14(2): 57-67.
  85. 전수정・윤혜미(2013).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방임, 문화변용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이 학교적
  86. 응에 미치는 영향. 「학교사회복지」, 24: 153-179.
  87. 정경미・신민정・강지현・김은성(2013). 남자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문제의 하위 발달경로 확
  88. 인.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2(1): 177-197. doi:10.15842/kjcp.2013.32.1.010
  89. 정옥분(2020). 「청년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정하성・우룡(2007).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응 실태 및 사회적응 프로그램 개발 방안」.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주소희・오인근・안세진(2021). 다문화가정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성과 성취동기와의 관계 연
  90. 구: 사회적위축의 매개 효과. 「인문사회21」, 12(3): 957-972.
  91. 한수연・양미석・박용한(2020).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성 발달양상에 따른 성취
  92. 동기의 종단적 변화 탐색. 「교육문화연구」, 26(3): 663-689.
  93. 홍나미.박현정(2017). 부모의 방임이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위
  94. 축. 우울의 매개효과. 「미래사회복지연구」, 8(2): 125-151. doi:10.22836/kaswpr.
  95. 2017.8.2.125
  96. 홍세희(2012).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초이론과 적용」. S and M Research Group.
  97. 홍세희(2020). 「잠재계층. 잠재전이. 성장혼합모형」. 서울: 박영사. 황선영(2013). 다문화가족 아동의 정서와 사회적응실태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7(1): 171-196.
  98. Achenbach, T. M., and Rescorla, L. A.(2001). Manual for the ASEBA school-age form
  99. profiles.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Research Center for Children,
  100. Youth and Families.
  101. Bayram Özdemir, S., Cheah, C. S., and Coplan, R. J.(2015). Conceptualization and
  102. Assessment of Multiple Forms of Social Withdrawal in Turkey. Social Development,
  103.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 자아존중감, 사회적 위축 구조적 관계 21
  104. 24(1): 142-165.
  105. Begum Satici(2020). Social exclusion and adolescent wellbeing: Stress, school
  106. satisfac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as multiple mediators. Educational
  107. and Developmental Psychologist, 37(1): 67-74, DOI: 10.1017/edp.2020.7
  108. Bennett M. J.(1986). A developmental approach to training for intercultural sensitivity.
  109.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Special Issue: Theories and
  110. Methods in Cross-Cultural Orientation), 10: 179-196.
  111. Bentler, P. M. and Bonett, D. G.(1980). Significance tests and goodness of fit in the
  112.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Psychological Bulletin, 88(3): 588-606.
  113. Bowker, J. C.,and Raja, R.(2011). Social withdrawal subtypes during early adolescence
  114. in India.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9(2): 201–212. https://doi.
  115. org/ 10.1007/s10802-010-9461-7
  116. Brown, C. S., and Chu, H.(2012). Discrimination, ethnic identity, and academic
  117. outcomes of Mexican immigrant children: The importance of school context.
  118. Child development, 83(5): 1477-1485.
  119. Csikszentmihalyi, Mihalyi.(2023). adolescence. Encyclopedia Britannica, 12 Sep. 2023,
  120. https://www.britannica.com/science/adolescence. Accessed 1 October 2023.
  121. Comanaru, R.-S., Noels, K. A., and Dewaele, J.-M.(2018). Bicultural Identity
  122. Orientation of Immigrants to Canada. Journal of Multilingual and Multicultural
  123. Development, 39(6): 526–541.
  124. Coopersmith S.(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CA: Freeman.
  125. Erikson, E.(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126. Goodwin, R. D., Fergusson, D. M., and Horwood, L. J.(2004). Early anxious/withdrawn
  127. behaviours predict later internalising disorder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128. and Psychiatry, 45(4): 874-883.
  129. Mead, G. H.(2010). 정신, 자아, 사회 (나은영, 역). 경기: 한길사, (원서출판 1934).
  130. Oh, W., Rubin, K. H., Bowker, J. C., Booth-LaForce, C., Rose-Krasnor, L., and Laursen,
  131. B.(2008). Trajectories of social withdrawal from middle childhood to early
  132. adolescence.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6(4): 553-566.
  133. 22 다문화와 평화 제18집 1호
  134. Olneck, M.R.(2011). Facing multiculturalism’s challenges in Korean education and
  135. society. Asia Pacific Educ, 12: 675–690. https://doi.org/10.1007/s12564-011-
  136. 9180-y
  137. Rosenberg, M.(1965). Rosenberg Self-Esteem Scale (RSES) https://doi.org/10.1037/
  138. t01038-000
  139. Rubin, K. H., Burgess, K., Kennedy, A. E., and Stewart, S.(2003). Social withdrawal and
  140. inhibition in childhood. In E. Mash, and R. Barkley(Eds.). Child psychopathology
  141. (pp. 372-406), New York: Guilford.
  142. Rubin, K. H., and Coplan, R. J.(2004). Paying attention to and not neglecting social
  143. withdrawal and social isolation. Merrill-Palmer Quarterly, 50(4): 506-534.
  144. Rubin, K. H., Coplan, R. J., and Bowker, J. C.(2009). Social withdrawal in childhood.
  145. Annual review of psychology, 60: 141-171. doi:10.1146/annurev.psych.60.
  146. 110707.163642.
  147. Rubin, K. H., Root, A. K., and Bowker, J. C.(2010). Parents, peers, and social
  148. withdrawal in childhood: A relationship perspective. New directions for child
  149. and adolescent development, 2010(127): 79-94.
  150. Vollebergh, W. A. M., J. Iedema and Q. Raaijmakers(2004). Intergenerational
  151. Transmission and the Formation of Cultural Orientations in Adolescence and
  152. Young Adulthood.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3(4): 1185-1198.

참고문헌 더보기
전체 논문 수 319
게시물 검색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