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의 새로운 가치와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제적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는 연구기관

저널명
다문화와 평화(Multiculture & Peace)
등재사항
KCI등재
수록권호
제18권 1호 (통권 41호)
발행일
2024.04
수록논문
8 articles
유형
학술저널
주제
복합학
발행기간
2023.12 ~ 2024.04
발행주기
연 3회
총 권호 수
2 volumes
총 논문 수
19 articles

키워드

차별, 혐오표현, 이주배경, 다문화교육
Discrimination, Hate Speech, , Immigrant, Multicultural Education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심층면담을 통해 학생들의 차별과 혐오표현 사용 및 피해의 실사례를 심층적
으로 살펴보아 그 맥락을 이해하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시 관내 학생 28명과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개인면담을 실시하였고, 참여 교원을 대상으로 하
여 2회의 교원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은 “게임 채팅, 유튜브, 뉴스” 등 매체와
보호자를 비롯한 어른들로부터 차별적 인식과 혐오표현을 습득하게 되는데, 한번 “유행”이 되
어버린 혐오표현 등은 “나쁜 것”으로 인지하더라도 일상의 일부분이 되어버리는 경우가 많았
다. 혐오표현 사용 혹은 차별의 원인은 “피부색”이 다르거나 “한국어를 잘 못 하니까” 등이며, 가해자의 입장에서는 친구들 사이 놀림이나 장난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이로 인
해 이주배경학생들은 학교생활 중 “정체성을” 숨기게 되고, 학내 이주배경학생의 존재감이 저
하되는 결과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차별 피해는 분명 “유쾌하지 않은” 경험이었고, 그 “경
험이 축적” 되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숨기고” 싶지만 “더 왕따당할까 봐” 참거나 대수롭지 않게
넘기려고 하는 방식으로 무대응하는 경우가 많았고, 외향적인 학생의 경우 “성격”으로 극복하
고 겉으로 보기에는 문제없이 “성격이 활발해서 아이들이랑 너무 잘 지내고” 있는 모습을 보이
기도 했다. 정리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초중고 학생들의 이주배경을 둘러싼 차별의식과 혐오표
현 실태와 습득 경로, 사용 의도와 가해 및 피해경험의 특징 등을 구체적으로 드러내었다. 또한
차별과 혐오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학생들의 대응 양상과 한계를 파악하고, 그 이유와 맥락을 보
여준다. 이상 본 연구를 통해 드러난 차별과 혐오의 내재화 메커니즘과 피해양상 등은 학교 다문
화교육 내용과 방향이 현재의 기초 수준의 다양성 존중만을 이야기하는 피상적 형식을 벗어나
심도 있는 내용으로 개선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deeply examine instances of discrimination, hate speech usage,
and experiences of victimization among students to understand their contextual
dynamics and to suggest improvement ways. To achieve this,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8 students and 10 teachers in Seoul, South Korea. Additionally, two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articipating teachers. Findings reveal that
students acquire discriminatory perceptions and expressions from various sources such
as gaming chats, YouTube, news media, and adult language habits. Once hate speech
becomes “trendy,” it often assimilates into daily discourse, despite being recognized as
“wrong.” Reasons for hate speech or discrimination often stem from differences in skin
color or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 Perpetrators tend to perceive their actions as
teasing or joking among friends. However, this leads immigrant-background students to
conceal their identities, resulting in diminished visibility within the school community.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are undoubtedly unpleasant, accumulating over time,
prompting individuals to hide their identities or endure silently out of fear of further
bullying. Some extroverted students manage to cope, appearing unaffected on the
surface due to their outgoing personalities. In summary, this study describes the context
of discrimination and hate towards immigrant-background student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pathways to acquiring discriminatory perceptions and
expression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usage and victimization experiences.
Furthermore, it identifies students' responses and limitations in situations of
discrimination and hate, along with their underlying reasons and contexts. The revealed
mechanisms of internalization of discrimination and hate, along with victimization
patterns, can serve as valuable insights for improving the content and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s by overcoming current superficial contents and
methods that only emphasize a basic level of diversity.

참고문헌 (72)

  1. 강초록・조영태(2012). 사회적 차별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35(3): 1-27.
  2. 국가인권위원회(2017). 보도자료: 인권위, 혐오표현 실태와 규제방안 실태조사-여성, 성소수
  3. 자, 장애인, 이주민이 주요 대상, 심각한 사회문제로 규제 필요-. (2017. 2. 20.)
  4. 김갑숙・강연정(2007). 여자청소년의 신체관련변인, 자존감, 내적통제력이 섭식장애행동에 미
  5. 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3): 77-87.
  6. 김경미(2021). 한국 청소년의 성차별과 외모차별경험-자살 생각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
  7. 한 성별분석. 「여성학연구」, 31(2): 93-124.
  8. 김나예(2021).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차별경험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
  9. 절효과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21」, 12(2): 721-733.
  10. 김도원・문인수(2022). 다문화 청소년 학교폭력 피해 영향요인. 「한국범죄심리연구」, 18(3): 37-48.
  11. 김동진・서은숙(2021). 차별 경험이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차별하는 주체
  12. 의 구분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 60(2): 169-183.
  13. 김미옥・김희성, 이민영(2003). 장애청소년의 사춘기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청소년학
  14. 연구」, 10(1): 167-197.
  15. 김솔・김경근(2021). 한국 청소년의 차별 가해 예측요인: 학업성취와 차별 가해 경험 간 관계를
  16.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31(3): 59-87.
  17. 김영한・이유진・조아미・임성택(. 2020). 청소년의 혐오표현 노출실태 및 대응 방안 연구. 한국
  18. 청소년책정책연구원. 김유균・손인서・김승섭(2015). 결혼이민자의 차별경험과 주관적 건강수준 간의 연관성: 출신
  19. 지역과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 35(3): 421-452.
  20. 김중곤(2021). 다문화 청소년의 차별피해인식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심리적 요인의
  21.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 20(4): 75-98.
  22. 김혜원・조혜영(2021). 부모의 학대와 방임이 청소년의 차별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
  23. 스, 우울, 차별피해경험의 매개효과, 「청소년문화포럼」, 65: 37-67.
  24. 김희진(2017). 청소년의 폭력피해경험이 차별행위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 「청소
  25. 년복지연구」, 19(3): 187-209.
  26. 들라캉파뉴, 크리스티앙(하정희 역)(2013). 인종차별의 역사. 용인: 예지. 박수미・정기선・김혜숙・박건(2004). 차별에 대한 국민의식 및 수용성연구. 한국여성개발원.
  27. 54 다문화와 평화 제18집 1호
  28. 박희진・최수진(2022). 이주배경 학생 밀집초등학교 다문화교육 담당교사의 경험과 정책시사
  29. 점. 「한국교육논총」, 43(1): 89-123.
  30. 박희진(2024). 다문화・이주민 국가로의 전환과 ‘새로운 우리’를 위한 다문화교육 정책 방향 탐
  31. 색: 영국과 싱가포르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34(1): 149-175.
  32. 서울신문(2023. 6.21.). “혼재된 이주민 용어 정비를”
  33. 신자현・심재환・전하민(2022). 다문화 청소년이 경험한 사회적 차별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부
  34. 모와의 관계만족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복지와 문화다양성 연구」, 4(1): 63-90.
  35. 안상수・김이선・마경희・문희영・이명진(2015).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연구(연구보고 2015-55).
  36. 서울: 여성가족부. 양계민・장윤선,・정윤미(2019). 다문화청소년 종단연구 2019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
  37. 구원. 염유식・김경미(2019).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국제비교연구조사결과보고서. 한국방
  38. 정환재단: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윤미애・홍상욱(2021). 차별경험, 자아존중감 및 교사의 지지가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
  39. 해극복 과정에 미치는 효과. 「교정상담학연구」, 6(3): 83-108.
  40. 윤현희・김경애・김나영・이동엽・이정우・이희연・이재창・홍미영(2023). 이주민 밀집지역 소재
  41. 학교 혁신 방안(RR 2023-01). 충북: 한국교육개발원. 오미옥・이진향(2018). 아동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차별가해경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8):
  42. 494-502.
  43. 우인경・이창배(2022).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집단괴롭힘 피해경험: 사회적
  44. 위축을 매개로. 「한국민간경비학회보」, 21(5): 115-14.
  45. 유효은・이원기・이창한(2019). 다문화청소년의 집단괴롭힘피해 원인에 대한 연구. 「한국공안
  46. 행정학회보」, 28(1): 137-166.
  47. 이문수・박희진(2021). 초기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 및 공동체 의식의 유형분류 및 영향 요인
  48. 탐색. 「다문화교육연구」, 14(4): 111-140.
  49. 이민경(2010). 한국 다문화교육정책 전개과정과 담론 분석: 교과부의 다문화가정 자녀교육지
  50. 원정책(2006-2009)을 중심으로. 「한국교육」, 37(2): 155-176.
  51. 이민경・이수정(2011). 다문화 아동・청소년' 정책 용어 사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대안 모색:
  52. 정책용어와 방향성에 대한 외국사례를 중심으로. 「지역과 세계」, 35(2): 1-37.
  53. 초중고생의 차별과 혐오표현 실태 55
  54. 이윤영・권승아(2022). 청소년의 차별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와의 소통과 학
  55. 교생활의 조절된 매개효과 연구. 「한국범죄학」, 22(15): 731-745.
  56. 이진욱(2018). “‘나 한국 미워’ …돌아간 이주노동자 증오 안다면.” CBS 노컷뉴스(2018.1.03.).
  57. 이상진・장인실(2022). Sleeter와 Grant의 다문화교육 접근법을 통한 다문화교육 정책 분석:
  58. 2006-2022 교육부 정책을 중심으로. 「교육논총」, 42(3): 67-79.
  59. 정주호(2019). 다문화가족청소년의 사회적차별경험이 학교폭력범죄피해에 미치는 영향:심층
  60. 면접연구를 통한 양적연구보완. 「한국치안행정논집」, 15(4): 163-188.
  61. 정해숙・김이선・이택면・마경희・최윤정・박건표・동제연・황정미・이은아(2016). 2015년 전국
  62. 다문화가족실태조사 분석. (연구보고 2016-03). 서울: 여성가족부. 정현・박서연・전희정(2017). 외국인의 차별경험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구조적・문화
  63. 적・환경적 관점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55(4): 307-336.
  64. 조선일보(2023.11.4.). “다문화 가족 대신 이주민으로 불러주세요”... 통합위, 명칭 통일 . 중앙일보(2024.3.17.). 저출산 고령화: 저출산과 고령화에 대한 사회 이슈. 차유정・황의갑(2017). 차별과 학대경험이 차별가해에 미치는 영향-부정적 감정의 매개효과, 「한국범죄심리연구」, 13(3): 135-154.
  65. 최윤정・전기택・김이선・선보영・동제연・양계민・최영미・황정미(2022). 2021년 전국다문화
  66. 가족실태조사. 서울: 여성가족부. 하영진(2021).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집단괴롭힘 피해경험의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
  67. 회과학연구」, 37(2): 239-260.
  68. 한국방송공사(KBS)(2023). 통합위, 이주민 정책 제안 특위 출범.(2023.11.3)
  69. 홍성수・김정혜・노진석・류민희・이승현・이주영・조승미(2016). 혐오표현 실태조사 및 규제방안
  70. 연구, 2016년도 인권상황 실태조사 연구용역 보고서.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홍성수(2018). 말이 칼이 될 때 (혐오표현은 무엇이고 왜 문제인가?). 서울: 어크로스. 홍성수(2019). 혐오표현의 해악과 개입의 정당성: 금지와 방치를 넘어서. 「법철학연구」, 22(3),
  71. 27-64.
  72. OECD.(2017). Better Life Index 웹페이지(방문일, 2023. 12. 1.

참고문헌 더보기
전체 논문 수 319
게시물 검색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