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의 새로운 가치와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제적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는 연구기관

저널명
다문화와 평화(Multiculture & Peace)
등재사항
KCI등재
수록권호
제18권 1호 (통권 41호)
발행일
2024.04
수록논문
8 articles
유형
학술저널
주제
복합학
발행기간
2023.12 ~ 2024.04
발행주기
연 3회
총 권호 수
2 volumes
총 논문 수
19 articles

키워드

다문화교육, 평생학습, 다문화공동체, 다문화시민역량
Multicultural Education, Lifelong Learning, Multicultural Community, Multicultural Citizenship Competency

초록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다문화공동체를 위한 평생학습 관점의 다문
화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대전시 평생교육 및 다문화 관련 기관에서 수행하는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주제별로 범주화 한 후 교육내용과 목적, 대상, 방법 차원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동화지향적인 ‘한국어 및 한국문화이해교육’과 복지지향적인 ‘취업역량교육’과 ‘가족생활
교육;이 많았고 다문화공동체를 위한 구성원간의 ‘교류와 공존교육’, ‘시민역량교육’ 등 다문화시민
성을 지향하는 교육은 다소 제한적이었다. 교육대상은 이주민인 경우가 많았고 내국인 대상 교육은
미흡하였다. 교육방법은 ‘강의’와 ‘체험’이 다수였고 체험의 경우 ‘일회성 행사’가 많았다. 앞으로 다
문화공동체 형성을 위해서는 다문화시민역량 강화를 위한 시민연대, 참여의식, 간문화적 소통능력
교육이 강화되어야 하며 내국인 대상의 평생학습차원의 다문화교육이 지속적되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평생학습 전문가와 다문화 전문가 간 연계를 통해 기존의 시민교육에 다문화주의 관점이 반
영될 수 있는 제도화가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in local communities to
identify multicultural education measures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learning for
multicultural communities. The research method was to categoriz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conducted by lifelong education and multicultural organizations in
Daejeon by topic and then analyze them in terms of educational content, purpose,
target, and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many assimilation-oriented
‘Korean language and culture understanding education’ and welfare-oriented
‘employment competency education’ and ‘family life education’, while education aimed
at multicultural citizenship, such as ‘exchange and coexistence education’ and ‘civic
competency education’ for members of multicultural communities, was somewhat
limited. The targets of education were often migrants, and education for nationals was
insufficient. The education methods were mostly ‘lectures’ and ‘experiences’, and the
experiences were mostly ‘one-time events’. In order to build a multicultural community,
education on civic solidarity, participation,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kills to
strengthen multicultural citizenship capabilities should be strengthened, and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continued in the form of lifelong learning for
Korean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stitutionalize multiculturalism perspectives in
existing civic education through linkages between lifelong learning experts and
multicultural experts.

참고문헌 (42)

  1. 김성길・한진상(2010). 다문화 가정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개발 기초연구:다문화교육의 주
  2. 체는 누구인가?. 「한국성인교육학회」, 13(2). 31-50.
  3. 김이선 외(2022).「2021년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여성가족부. 김진희・윤한수(2016). 성인대상 다문화교육의 실제 분석과 방향. 「평생학습사회」, 12(3).
  4. 107-131.
  5. 나윤경・강미연・장인자・허수연(2008). 결혼이주여성들의 행위자성과 평생교육의 지향점 모
  6. 색. 「평생교육학연구」, 14(4). 185-213
  7. 류유선(2020). 「대전지역 다문화담론 분석」, 대전세종연구원
  8. 박기범(2009). 공동체적 관점에서 본 다문화교육의 과제 「사회교육」, 48(1). 45-55.
  9. 박수현(2012). 「문화공동체 사업이 공동체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석사학위, 서울대
  10. 학교 대학원. 배영주(2008). 학교에서의 자기주도학습 구현을 위한 실천적 모형 개발 연구. 「교육과정연구」, 26(3). 97-119.
  11. 배영주(2009).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본 다문화교육의 새 구상. 「평생학습사회」, 5(1). 177-197.
  12. 백은순・박형민(2013). 평생교육관점에서 바라본 다문화교육의 방향과 과제. 「한국사회교과
  13. 교육학회 2013년 추계학술대회」, 203-215.
  14. 신영선(2012). 「농촌마을 주민 공동체의식 연구-공동체의식 측정항목 도출 및 형성요인 분석
  15. 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심주현(2013) 「지역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평생교육 참여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공
  16. 주대 교육대학원. 양영자(2007). 분단-다문화시대 교육 이념으로서의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의 양립가능성 모
  17. 색. 「교육과정연구」, 25(3). 23-48.
  18. 윤창국(2009). 다문화사회 담론 및 정책 분석을 통해 본 평생교육의 과제. 「평생교육학연구」, 15(4). 245-274.
  19. 이문수・박희진(2021). 초기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 및 공동체 의식의 유형분류 및 영향 요인
  20. 탐색. 「다문화교육연구」, 14(4). 111-140.
  21. 이민경(2013). 다문화 사회에서의 시민성 교육: 세계시민성과 환대의 개념을 중심으로. 「교육
  22. 문제연구」, 26(2). 115-136.
  23. 78 다문화와 평화 제18집 1호
  24. 이병준・박정현(2014). 다문화교육 정책프로그램의 분석과 평생교육적 대응방안연구. 「문화
  25. 예술교육연구」, 9(4). 147-172.
  26. 이해주(2015). 실태 및 요구조사를 통한 다문화교육의 개선방안 모색. 「평생학습사회」, 11(2).
  27. 109-132.
  28. 이혜영(1993). 공동체적 사회연대 구축을 위한 품성교육의 방향. 「교육사회학연구」, 3. 113-134.
  29. 장미혜・김혜영・정승화・김효정(2008). 「다민족・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30. 구축(Ⅱ)」.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360.
  31. 장시준(2013). 「평생교육관점에서 바라본 다문화교육의 방향과 과제」, 한국사회교과교육학
  32. 회 학술대회 토론문, 217-219.
  33. 전재영(2011). 다문화교육 연구 실태를 통해 본 개선방향. 「다문화교육연구」, 4(2). 17-41.
  34. 최항석・한진상(2014). 평생교육으로서의 다문화주의: 평생학습사회에서의 다문화교육을 위
  35. 한 교육자본화 논고. 「다문화와 평화」, 8(3). 44-61.
  36. 최영준(2018). 다문화교육 정책의 변화와 개선방안. 「평생교육・HRD연구」, 14(2). 55-75.
  37. 한승희(2004). 「평생교육론: 평생학습 사회의 교육학」. 학지사
  38. 함승환・이승현・이성호(2022). 다문화교육에 대한 다문화주의적 재고찰, 「한국이민정책학보」, 5(1). 1-17.
  39. 행정안전부(2023). 2022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 Banks, J. A.(2008).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40. Popović, K., & Despotović, M.(2018). From education for democratic citizenship to the
  41.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On the necessity for a paradigm shift. Andragoške
  42. studije, (1), 29-45.

참고문헌 더보기
전체 논문 수 319
게시물 검색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