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의 새로운 가치와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제적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는 연구기관

총 권호 수
0 volumes
총 논문 수
0 articles

키워드

생애사, 이야기식 인터뷰, 이주민지원센터, 결혼이주여성, 지역사회활동 참여
Life history, story interviews, migrant support centers, marriage migrant women, community activities

초록

이 연구는 생애사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이주민지원센터를 운영하는 결혼이주여성 개인의 삶에 초점을 두고 지역사회활동 참여 경험을 살펴보는 것이다. 생애사 연구방법은 개인 삶의 사적인 이야기를 통해 그 사람이 처한 사회적 맥락과 환경을 통찰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연구참여자의 생애는 결혼이주여성으로서 개인의 삶에 대한 사적 이야기를 보여주는 동시에 결혼이주여성을 바라보는 우리 사회의 환경을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연구결과, 첫째, 개인의 삶은 생존을 위한 삶에서 주체성이 강한 모성을 가진 엄마로 다시 태어나 한계를 뛰어넘어 도약하는 삶을 보여주고 있었다. 둘째, 세상 밖은 ‘나’ 혼자가 아닌 ‘우리’로 같이 성장하고 회복하기를 기다리는 공간이었으며, 그 공간으로 내가 가진 잠재력을 발휘하여 자신의 행위를 확장시키는 사회적 삶이었다. 셋째, 공동체와의 상생은 지역사회로 한걸음 더 다가가 사회관계를 형성하며 미래의 삶을 만들어가는 공간적 역할이었다. 이와같이 이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이 이주민을 위한 이주민지원센터를 운영하고 결혼이주여성을 위해 지역사회 참여를 하는 개인 생애사를 밝힌 점에 의의를 둔다. 또한 이 연구가 결혼이주여성들이 지역사회활동 참여로 만들어가는 공동체 역할에 대한 후속 연구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life of an individual marriage migrant woman who runs a migrant support center by applying the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and examines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community activities. The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enables insight into the social context and environment of a person through the private story of an individual’s life. In other words, the life of the research participant shows the private story of an individual’s life as a marriage migrant woman, and at the same time makes it possible to recognize the environment of our society looking at marriage migrant women.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individual’s life was reborn as a mother with strong subjectivity in a life for survival, showing a life leaping beyond the limits. Second, outside the world was a space waiting for growth and recovery together as ‘we’ rather than ‘I’ alone, and it was a social life in which I exercised my potential to expand my actions. Third, coexistence with the community was a spatial role to take a step closer to the local community, form social relationships, and create future life. As suc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individual life history of marriage migrant women who operated migrant support centers for migrants and participated in the community for marriage migrant women.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lead to follow-up studies on the community role created by marriage migrant women’s participation in community activities.

참고문헌 (51)

  1. [인터넷자료] 강유미 / 결혼이주여성의 성공적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2. [학술지] 김새봄 / 2016 / 결혼이주여성의 인적자본과 취업: 출신국가에 따른 비교 / 여성경제연구 13 (1) : 21 ~ 50
  3. [학술지] 김순남 / 2014 / 이주여성들의 결혼, 이혼의 과정을 통해서 본 삶의 불확실성과 생애지도의 재구성 / 한국여성학 30 (4) : 189 ~ 231
  4. [학술지] 김승주 / 2016 / 생애사 연구를 통한 베트남 결혼이주여성 삶의 재구성: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 가족과 문화 28 (4) : 91 ~ 130
  5. [학술지] 김안나 / 2013 / 결혼이주여성 임파워먼트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 한국여성학 29 (2) : 189 ~ 229
  6. [학술지] 김영순 / 2022 / ‘생성’으로서의 자조모임에 참여한 결혼이주여성의 경험에 관한 연구 / 아시아여성연구 61 (1) : 127 ~ 174
  7. [학술지] 김영옥 / 2010 / 인정투쟁 공간/장소로서의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공동체: ‘아이다’마을을 중심으로 / 한국여성철학 14 : 31 ~ 64
  8. [학술지] 김영옥 / 2014 / 결혼이주여성들의 결혼생활에서 나타나는 불안 경험에 대한 연구 -경기도 S의 필리핀여성들을 중심으로- / 상담학연구 15 (6) : 2581 ~ 2602
  9. [학술지] 김영천 / 2012 / 질적 연구방법으로 생애사연구의 성격과 의의 / 교육문화연구 18 (3) : 5 ~ 43
  10. [학술지] 김은재 / 2018 /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지역사회자원봉사활동 참여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지역사회연구 26 (4) : 65 ~ 90
  11. [학술지] 김은재 / 2016 / 이주민 당사자들이 인식한 선주민들의 다문화수용성과 인식 경험 /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8 (4) : 143 ~ 167
  12. [학술지] 김정선 / 2011 / 시민권 없는 복지정책으로서 ‘한국식’ 다문화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경제와 사회 (92) : 205 ~ 246
  13. [학술지] 김태완 / 2015 / 이주민의 정치적 권리와 정치참여: 부산 강서구 주민의 인식과 태도 / 국제정치논총 55 (4) : 203 ~ 240
  14. [학술지] 두문영 / 2017 / 중국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에 관한 생애사 연구 / 여성학연구 27 (1) : 109 ~ 141
  15. [학위논문] 문경연 / 2010 / '국민의 배우자'를 벗어난 여성들 : 한족결혼이주여성들의 이혼 사례를 중심으로
  16. [학술지] 민무숙 / 2013 /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 양상을 통해 본 사회통합의 과제 / 여성연구 85 (2) : 5 ~ 43
  17. [학술지] 박정숙 / 2007 /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가족갈등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 가정과삶의질연구 25 (6) : 59 ~ 70
  18. [학술지] 박지인 / 2021 /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참여 현황과 교육법적 과제 / 교육법학연구 33 (2) : 75 ~ 103
  19. [기타] 법무부 / 2021 /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연보 2021년 12월
  20. [기타] 법무부 /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2022년 6월호
  21. [학술지] 설동훈 / 2008 /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경제적 적응과 복지정책의 과제:출신국가와 거주지역에 따른 상이성을 중심으로 / 사회보장연구 24 (2) : 109 ~ 133
  22. [학술지] 손미향 / 2018 / 결혼이주여성과 이혼한 한국남성의 결혼 해체 경험에 관한 연구 / 여성학연구 28 (1) : 113 ~ 154
  23. [학술지] 양순미 / 2009 / 결혼이주여성의 농촌 사회참여활동 실태 및 이에 따른 생활만족도 변화 / 농촌지도와 개발 16 (4) : 713 ~ 742
  24. [단행본] 여성가족부 / 2022 / 2021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25. [학술지] 윤승주 / 2021 / 결혼이주여성의 어머니 노릇(mothering): 몽골 출신 고학력 여성의 자녀교육을 중심으로 / 아시아여성연구 60 (1) : 209 ~ 245
  26. [학술대회] 이선희 / 2015 /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어머니 하기: 베트남 출신 여성 L씨의 결혼과 자녀양육 경험을 중심으로 / 한국육아지원학회 학술대회지 2015 (10) : 159 ~ 162
  27. [학술지] 이용균 / 2007 / 결혼 이주여성의 사회문화 네트워크의 특성: 보은과 양평을 사례로 /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0 (2) : 35 ~ 51
  28. [학술지] 이은아 / 2013 / 도시 결혼이주여성의 어머니 노릇과 정체성 : 자녀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 한국여성학 29 (3) : 115 ~ 146
  29. [학술지] 이춘양 / 2020 / 가정해체를 경험한 이주여성의 자녀 언어 학습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 열린교육연구 28 (1) : 19 ~ 46
  30. [학술지] 이형하 / 2010 / 농촌지역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활동 참여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한국사회복지학 62 (3) : 219 ~ 245
  31. [학술지] 이형하 / 2012 /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 참여’ 의미와 유형에 관한 연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17 (3) : 143 ~ 155
  32. [단행본] 이효선 / 2005 / 이론과 실제 / 학현사
  33. [학술지] 이효선 / 2007 / 생애사 연구를 통한 중도장애인의 삶의 재구성: 슛제(F. Schutze)의 이야기식인터뷰를 중심으로 / 사회복지연구 32 : 299 ~ 330
  34. [학위논문] 전미숙 / 2011 /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삶의 만족도 : 배우자 인식을 중심으로
  35. [학술지] 정명희 / 2009 /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임파워먼트 효과 타당성에 관한 실증 연구 - 한국 사례를 중심으로 - / 국제지역연구 13 (3) : 849 ~ 871
  36. [학술지] 최금해 / 2007 / 조선족 여성들의 한국결혼생활 적응유형에 관한 질적연구 / 여성연구 1 (72) : 143 ~ 188
  37. [학위논문] 최미경 / 2018 / 필리핀 결혼이주여성의 공동체 활동 경험 연구
  38. [학술지] 최승은 / 2019 / 이주 어머니(migrant mother)의 자녀 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동남아시아 출신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 여성연구 101 (2) : 77 ~ 109
  39. [학술지] 최연숙 / 2019 / 결혼이주여성의 모성경험: ‘좋은 엄마’의 일상실천을 중심으로 / 다문화와 디아스포라연구 (15) : 25 ~ 54
  40. [학술지] 최현실 / 2010 / 생애사를 통해 본 일본군‘위안부’의 삶과 기억의 재구성 / 사회과학연구 26 (3) : 75 ~ 101
  41. [학술지] 허선미 / 2016 / 고학력 결혼이주여성의 탈구위치와 인정투쟁: 이중언어강사를 중심으로 / 사회과학연구 27 (4) : 181 ~ 211
  42. [학술지] 홍달아기 / 2012 / 결혼이주여성의 한국가정생활 문화적응 단계별 특성-필리핀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16 (4) : 1 ~ 22
  43. [학술지] 황정미 / 2010 / 결혼이주 여성의 사회연결망과 행위전략의 다양성 : 연결망의 유형화와 질적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여성학 26 (4) : 1 ~ 38
  44. [학술지] 황해영 / 2018 / 가정폭력을 경험한 결혼이주여성의 이혼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23) : 909 ~ 927
  45. [학술지] Fraser, H / 2005 / Four different approaches to community participation / Community Development Journal 40 (3) : 286 ~ 300
  46. [단행본] Fuchs, W / 1984 / Eine Einführung in Praxis und Methoden / Opladen
  47. [학술지] Garz, D / 2000 / Qualitative Research in Social Sciences and Social Work /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Policy 14 : 269 ~ 297
  48. [단행본] Gertenbach, L / 2017 / 공동체의 이론들 / 라움
  49. [학술지] Koster, M / 2009 / Being part of the peer group : a literature study focusing on the social dimension of inclusion in educatio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clusive Education 13 (2) : 117 ~ 140
  50. [단행본] Schütze, F / 1981 / Biographie in handlungswissenschaftlicher Perspektive / Nürnberg : 67 ~ 156
  51. [단행본] Schütze, F / 1984 / Biographie und soziale Wirklichkeit / : 78 ~ 117

참고문헌 더보기
전체 논문 수 319
게시물 검색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