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의 새로운 가치와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제적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는 연구기관

총 권호 수
0 volumes
총 논문 수
0 articles
1970.01

키워드

국민통합, 신뢰, 공동체, 갈등, 다문화
Social cohesion, Trust, Community, Conflict, Multi-cultural

초록

이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국내 및 국외의 국민통합의 개념 정의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국민 통합의 정의 및 그 요소를 규정한 후, 국민통합정책의 유형을 가치체계의 공유를 통한 신뢰 형성과 증대, 소속감 및 유대감을 통한 사회 수용성 증대, 계층․이념․지역․세대 등 갈등 예방과 갈등 최소화, 공공서비스 전달 강화를 통한 사회적 가치의 강화정책 등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국민통합의 개념 정의와 노력에 대한 우리나라 국민의 인식을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탐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한국인으로서의 자부심과 주변사람에 대한 신뢰 수준이 높은 것을 제외하면, 사회적 자본과 사회적 포용성 수준은 100점 만점에 30점대로 상당히 낮은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에 대한 인식도 다문화 정책과 양성평등 정책을 제외하곤 모두 20점대에 머물러 있어, 국민통합에 대한 국민의 인식은 매우 낮은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정부는 민관협력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사회적 형평성과 사회적 신뢰의 확보를 위한 국민통합의 노력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finition of social cohesion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through the previous research, to define the definition of social cohesion and its elements, Increasing social acceptance through sense of belonging and bond, prevention of conflicts such as hierarchy, ideology, region and generation, minimization of conflict, and strengthening of social value through strengthening of public service delivery. We analyzed the public perception of the concept and effort of the social cohesion and explored the policy implications. As a result of the survey, social capital and social inclusion level are at a level of 30 points out of 100 points, except that they have a high level of self – esteem and a high level of trust in the people around them. In addition, the recognition of the government ’s efforts to improve this situation is at 20 – point level except for the multicultural policy and the gender equality policy, and the public’ s perception of the social cohesion is very low. As a result, the government needs to carry out social cohesion efforts to secure social equity and social trust through various forms of public-private partnership.

참고문헌 (18)

  1. [보고서] 강신욱 / 2011 / 한국 사회통합지표 연구(II)
  2. [보고서] 강신욱 / 2012 / 사회통합지수 개발연구
  3. [기타] 김성근 / 2015 / 사회통합정책의 분류 / 「이슈페이퍼」 2015-02(23) : 1 ~ 10
  4. [보고서] 노대명 / 2010 / 한국 사회통합지표 연구
  5. [학술지] 신운경 / 2008 / 주거단지의 사회통합을 위한 해외 건축계획 사례 연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4 (2) : 13 ~ 22
  6. [학술지] 신명호 / 2004 / 한국사회의 새로운 빈곤 혹은 사회적 배제 / 도시와 빈곤 67 : 160 ~ 170
  7. [보고서] 여유진 / 2014 / 국민대통합 종합 계획
  8. [보고서] 이건 / 2013 / 사회통합 실태조사
  9. [학술지] Ager, A. / 2008 / Understanding integration : A conceptual framework / Journal of Refugee Studies 21 (2) : 166 ~ 191
  10. [보고서] Canadian Council on Social Development / 2000 / Social Cohesion in Canada: Possible Indicators Social Cohesion Network
  11. [학술지] Chan, J. / 2006 / Reconsidering Social Cohesion : Developing a efinition and Analytical Framework for Empirical Research / Social Indicators Research 75 (2) : 273 ~ 302
  12. [보고서] Jenson, J / 1998 / Mapping social cohesion: The state of Canadian research
  13. [단행본] OECD / 2011 / Society at a Glance 2011: OECD Social Indicators / OECD Publishing
  14. [단행본] OECD. / 2014 / Society at a glance 2014: OECD social indicators / OECD Publishing
  15. [인터넷자료] / http://www.oecd-ilibrary.org/social-issues-migration-health/society-at-a-glance-2014_soc_glance-2014-en
  16. [인터넷자료] / http://www.oecd-ilibrary.org/sites/soc_glance-2014-en/07/01/index.html?contentType=&itemId=%2fcontent%2fchapter%2fsoc_glance-2014-27-en&mimeType=text%2fhtml&containerItemId=%2fcontent%2fserial%2f19991290&accessIte mIds=
  17. [인터넷자료] / http://www.oecd-ilibrary.org/sites/soc_glance-2014-en/07/02/index.html?contentT ype=&itemId=%2fcontent%2fchapter%2fsoc_glance-2014-28-en&mimeType =text%2fhtml&containerItemId=%2fcontent%2fserial%2f19991290&accessIte mIds=
  18. [인터넷자료] http://www.oecd-ilibrary.org/sites/soc_glance-2014-en/07/03/index.html?contentT ype=&itemId=%2fcontent%2fchapter%2fsoc_glance-2014-29-en&mimeType =text%2fhtml&containerItemId=%2fcontent%2fserial%2f19991290&accessIte mIds= / http://www.oecd-ilibrary.org/sites/soc_glance-2014-en/07/03/index.html?contentType=&itemId=%2fcontent%2fchapter%2fsoc_glance-2014-29-en&mimeType=text%2fhtml&containerItemId=%2fcontent%2fserial%2f19991290&accessIte mIds=

참고문헌 더보기
전체 논문 수 319
게시물 검색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